캐주얼게임은 게임의 난이도나 규칙이 어려운 하드코어 게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칙이 쉽고 간단한 게임을 말한다. 캐주얼 게임은 게임의 특성상 짧은 여유시간에 즐기는 킬링 타임용 플레이에 더 적합하며, 단순한 규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자층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콘텐츠이다. 2016년 이후글로벌 게임 산업의 비중에 있어서도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가 다른 플랫폼을 넘어섰으며, 캐주얼 게임의 장점과 특징이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과 확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캐주얼 게임은 간단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이해하기 쉬운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순차적인 난이도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도전의식을 부여하여 안정적인 과금 설계 및 수익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최근 중ž소 개발사들의 신규 게임 서비스 이후 생존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게임의 서비스 이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솔루션 구축의 부재로 인한 결과로 유추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게임의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게임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처하며,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운영 툴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This study presents the popularization phenomena of casual games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m in terms of 'nostalgia' and 'communication'. Casual games refer games that can be played in steps with least amount of knowledge such as 'Ani-Pang', 'Everyone's Marble' , 'Dragon's Flight' and etc. The games are published through SNS(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y are also popular to 40 middle-aged class in Korea nowadays. However, these popular games are retro games that utilized original games'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such as 'Bejeweled' and 'Xevious' which was popular in the 80-90s. The reason why common players in 40s play retro games in SNS is to possess happiness formed with nostalgia imagery by public. In addition, the retro games allow people's communication by incorporated into social network as a member through game playing. As a result, popularization of casual games through SNS focused on common players in 40s is related to nostalg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stalgia can be seen not only as a pleasure realization of desire but also as a tendency that shows desire of community recovery and acquisition of identity within the community.
Recently, the online and mobile game markets are enjoying a boom due to the wide use of the smartmedia, while the traditional video games have lost their popularities. While the use of the smartmedia based game increased, the game development companies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circulation through the app market or the social platform. And, the competition of the related companies is expanded to the IT industry and SNS provider. As the success of the casual game led the development of online game industry, the social network game leads the development of mobile game industry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smartmedia.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key to success of the casual game represented by the Maple Story and Kart Rider and the social network game represented by the Anipang and Dragon Flight. From that, we drew the key to success that must have the succeeded game from the immersion view and we can provide some valuable strategies to the game company to succeed with the social network game.
소셜네트워크의 대중화를 통해 다면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다면시장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는 캐주얼 게임들은 매우 중요한 서비스이자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현재 다면시장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캐주얼 게임들은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하지만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HTML5 기술을 다면시장 플랫폼에 활용할 수 있다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캐주얼 게임의 효율성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된 대부분의 캐주얼 게임들을 HTML5 기술을 통하여 접근했을 때 어떠한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플래시 기술들과 HTML5 기술을 각 접근분야에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는 영화시장과 음악시장을 통합한 것보다 2배 이상으로 성장으로 하고 있고, 전체 엔터테이먼트 산업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에서 게임 산업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게임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나 능력은 게임 산업의 변화에 못 미치고 있을게 사실이다. 또한 온라인 게임인 경우는 개발과정과 설계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며, 특히 이러한 국내실정에서 캐주얼 게임 개발에 대한 정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온라인 캐주얼 게임에 적합한 게임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를 위해서 2005년 12월 부터 개발하기 시작한 "스트로커"란(온라인 캐주얼 리듬액션) 게임을 기반으로 사례 분석하여 실제 상용게임개발에 사용되는 게임디자인 과정의 소개와 캐주얼 게임에 적합한 게임디자인 문서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