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강의 동영상 학습에서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분량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형태대학교 교육학 전공 1학년 167명으로 이들에게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과 적은 동영상을 학습하게 한 후,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정보인지 유형과 정보입력 유형으로 구분하여 집단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만 족도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인지 스타일 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미지 분량이 많은 강의 동영상은 직관형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를 높였다. 셋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입력 스타일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angsub Lee. 1998. Does Grammar Instruction Interact with Learning Style? Studies in Modern Grammar 21, 149-181. This study extended earlier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interactive small group tasks as opposed to traditional teacher-fronted grammar lesson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styles on students` achievement via the two instructional methods. A "Learning Style Profile" adapted from the Learning Style Profile (Keefe & Monk, 1986) was administered to a large group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to assess their learning styles and to establish associations between elements of their learning styles and their achievement on the proficiency tests. In particular, students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rmal instruction they received: grammar task group, grammar lesson group, and non-gramma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earning style preferences were able to predict more than 70% of the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which instructional method worked best for them. In addition, aptitude by treatment interaction analyses showed that visual learning style is best accommodated by traditional teacher-fronted grammar lessons. In su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rmal grammar instruction is facilitated when there is a match between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the learners` learning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