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나사렛교회의 역사를 거시적으로 고찰하면서 지속 가능한 선교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 과제를 분석적으로 제시하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웨슬리안 성결 운동의 배경 속에서 국제 나사렛교회의 태동과 확산이 요약적으로 소개된다. 이어 국제 나사렛 교회 선교 정책과의 연계 속에서 한국 나사렛교회의 설립과 발전이 통시적으 로 조망된다. 더 나아가 한국 나사렛교회의 해외 선교 실상 속에서 개선이 긴요한 핵심 현안이 주제별로 평가된다. 특히 선교사 생애주기에 따라 모집, 양성, 파송, 지원의 사중적 맥락 속에서 순차적으로 검토된다. 끝으로 한국 나사렛교회 정체성과 방향성의 관점 속에서 선교학적 제언의 중요성이 확인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선교자원 다각화, 선교훈련원 설립, 미전도종 족 중심, 통전적 멤버 케어 구축이 한국 나사렛교회가 추진해야 할 실천 과제로 도출되며 이를 통해 교단의 선교 활성화 방안도 정립된다.
        6,000원
        2.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선교신학회는 지난 30년 동안 한국교회와 선교학계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다. 한국 교회의 올바른 목회 관을 제시하고 교회의 본질과 삶을 바르게 정위시켰다. 또한 한국 교회의 바른 선교관을 제시하고 선교신학을 세우는 일에 헌신해 왔다. 교회와 선교 현장이 연계되어 교회가 바른 선교관을 가지고 하나님의 선교를 잘 감당하고 선교사들이 올바른 선교 정체성을 가지고 선교할 수 있도록 학문적으로 돕고 방향을 제시해 왔다. 한국선교신학회는 발전을 위해 성경과 선교 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에 헌신하도록 방향을 제시해 주고,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선교학적 연구로 하나님의 창조 세계 보전에 대한 시각을 바르게 제시해 줘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팬데믹 이후에 급변하는 선교 현장의 선교-지역학 연구를 통해 선교사와 교회가 지속가능한 선교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학문적 방향을 제시해 주고 연계성 을 갖도록 다리 역할을 해 주어야 할 것이다.
        7,000원
        3.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한국교회의 선교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 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교회와 선교현장은 점검과 성찰이 요구되 고 있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선교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교회의 선교와 방향을 5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 있다. 우선 한국교회 선교의 공공성 문제로서 공적 책임과 사회적 책무를 다루었고, 코로나 사태로 많은 교회들이 사라지고 정체와 쇠퇴되고 있는 상황 가운데 ‘교회가 무엇인가?’의 화두에 대한 대답으로 선교적 교회 논의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환경문 제와 생태계 파괴로 인한 생명 살림과 돌봄 선교,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메타버스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융합으로 선교의 기회로 활용하고 자 논의하였다. 더욱이 전쟁으로 인한 난민증가 및 이주민 문제를 다루었다.
        6,700원
        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규명을 바탕으로 한국 개신교 교회의 평화선교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범위는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이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 연구와 메츠(J. B. Metz)의 위험스러운 기억과 역사의 주체로서의 희생자이다. 희생자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의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가 한국전쟁으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교회 재건과 국가 재건, 개신교 교회의 구조와 성격,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 교회분열과 사이비이단 발흥 등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은 한국 개신교의 특징으로 친미반공 이데올로기의 보루, 기복적 신앙, 신학적 성찰 없는 교회성장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개신교 우파의 등장과 정치참여, 신학적 영향을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로 죄고백, 회심, 전쟁 기억 치유를 통한 민족화해,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올바른 한일관계 수립, 희년을 이루는 교회 10년, 베트남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사과, 평화신학과 평화선교신학 수립, 평화교육, 민족의 코이노니아, 군축과 평화체제로의 전환 등을 제시한다.
        8,300원
        5.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임금노동자의 30%-50%(600만-1,000만)이 비정 규직 노동자이지만 사회복지 체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실업의 공포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는 극심한 차별 속에서도 비정규직 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고통, 아픔, 좌절은 상상을 초월하지만 한국교회는 비정규직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우선 비정규직에 대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비정규직에 대한 다양한 정의, 비정규직의 규모에 대한 정부 통계와 민간연구소가 추정하는 규모의 차이와 이유, 비정규직이 발생하는 배경을 케인스주의로부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의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에서 찾고, 비정규직의 현황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비정규직의 문제는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 불안정한 일자리이 다. 그리고 비정규직의 제도적 문제로는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노조에 가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비정규직의 사회적 문제 로는 계층 구조의 양극화와 사회적 양극화로 인간 사회 분위기의 악화를 들 수 있다. 비정규직의 대안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신자유주의 경제정 책으로부터 경제민주화로의 정책의 변화, 기업 중심 노동유연화 정책으 로부터 노동자 중심의 노동시장 정책으로의 전환, 정규직 중심의 사회 보장 정책으로부터 비정규직과 실업자 중심의 사회보장 정책으로 전환 해야 한다. 근로기준법이 비정규직을 포함하도록 개정하고, 법 적용을 엄격하게 해야 하며, 노동자와 그 가족을 위한 심리치유센터를 만들고, 노동자와 비정규직에 대한 시민의식이 개선되도록 학교교육과 시민교 육에 노동자와 비정규직을 포함해야 한다. 그런데 기업이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것은 저성장기 자본의 축적논리의 일환으로 대자본의 핵심 산업 이외에는 거의 전부 외주화, 비정규직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업 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필수적이다. 비정규직은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정규직 노조는 비정규직과 함께 노조를 만들어 운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비정규직에 대한 선교를 위해서 깔뱅은 인간의 회복과 사회회복의 밀접한 관계, 물질적 삶과 영적 삶의 긴밀한 관계, 부자와 가난한 자사이의 영적 유대를 바탕으로 한 재화의 순환, 인간 본질로서의 안식과 그로 인한 해방적, 창조적 노동, 재화의 순환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국가의 책임,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임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비정규직을 위한 교회의 선교과제로서 노동자에 대한 올바른 성서적 신학적 이해와 기독교교육에 적용해야 하고, 교회가 재화를 가난한 자에게로 흘러가도록 미소금융이나 협동조합 등의 활동을 전개해야 하고, 고난당하는 노동자들을 위한 기도회, 예배, 교회가 노동자의 교육 공간, 상담 공간, 치유공간이 되어 주님 안에서 안식을 통해 자기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회복하고 치유 받은 치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부터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최저임금을 준수하고, 생활임금을 지급하며, 이웃종교인들과 시민사 회단체들과 함께 국가의 불의한 법을 개정하고 제도와 의식을 개혁하고 비정규직과 실업자를 중심에 두는 사회보장제도와 경제민주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8,400원
        6.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든버러 대회에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참여한 윤치호는 대회에큰 기여를 하였다. 낙관주의에 근거한 서구의 일방적인 선교와 추상적철학사조에 문제를 제기하고, 서구교회가 토착교회와 함께 논의하며협력할 것을 강력히 요청하였다. 또한, 한국의 선교사를 대표하여마펫은 선교지에서 현지사역자와의 에큐메니컬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한국의 실제적인 성장사례에 근거하여 에든버러 대회에 널리알렸고, 존스는 교육이 선교에서 차지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자신의한국경험을 통해 에든버러 대회에 소개함으로써 기여하였다. 한편, 에든버러 대회는 오늘의 한국교회에 매우 중요한 과제를 던지고 있다.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한국교회는 맘몬으로 병들고 있으며, 해외선교지에서 한국선교는 곧 돈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선교사파송 세계 제2위라는 한국교회가 심각한 분열의 악습을 선교지에서도 답습하며, 현지사역자에 대한 우월적 태도로 에큐메니컬 협력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가난 속에서도 경제적으로 자립하였고, 교단을 초월하여 그리고 현지사역자와도 긴밀하게 협력한 초기 한국교회의 좋은 전통을 우리는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6,300원
        7.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outline the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in Thailand and its characteristics, tasks and mission theological issues so that the thesis searches for the way of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o contributing to the unity and empowerment of the Church of Thailand. To achieve this aim, the thesis deals with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value systems of Thai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mission of Roman Catholics and of Protestants. Through suggesting the contour of the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in Thaila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 of Korean Church are church plant, church-centered passion, project-centered and materialistic mission, and independent seminaries. Tasks of the mission of Korean Church in Thailand are acceptance of Thai Christians' critiques on Korean missionaries, Korean missionaries' understanding of Thai culture in depth, meagerness and lack of mission strategies, halt in mission, missionary kids' education, partnership in mission, acceptance of difference of Thai church culture, understanding of the missionary tasks from the socio-cultural and religious situation of Thai church, and theological issue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two kinds of church in Thailand: one belongs to the Church of Christ in Thailand, the other to the Evangelical Fellowship of Thailand. Some Korean missionaries, however, established independent denominations and ran seminaries so that those denominations and seminaries obstructed the unity of Church in Thailand. These activities of Korean Church cannot be regarded as mission. Secondly, Korean missionaries to Thailand should not transplant the culture of the Korean Church to Thailand. Rather with Thai Church leaders, their missionary tasks are looking for the ways of how to communicate and share the Gospel with Buddhist Thais and identifying the appropriate ecclesiology in Buddhist society. Thirdly, the future of the mission of Korean Church to Thailand depends on whether Korean missionaries could expand the model of the partnership in mission done by the missionaries belonged to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of Thailand and Korean missionaries. Lastly, such an expansion of the model of the partnership in miss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the ecumenical churches and the evangelical churches can reach a common conclusion through coming to an agreement on the theological issues such as human-centered theology, religious pluralism and mission methods and mission theology in the Buddhist country.
        8,700원
        8.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ace should be approached by inclusivism, consisted of politics, economy, international relationship, social welfare, community health care, education, and culture. For the current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been obsessed with ideology rather than national interests during the last fiv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in crisis. Theological foundations for reconciliation are truth, memory, repentance, justice, forgiveness, and love. The presupposition of reconciliation is to know what happened to the victim. The truth of the victim can be recognized through memory, that is the center of one’s identity. Repentance of the perpetrator is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In return the victim should forgive the perpetrator. In the whole process of reconciliation, love is a dominant factor. Theological foundations for peace are justice, reconciliation, nonviolence, just peace, and economic justice. Justice is the preconditio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is the way to peace. Nonviolence is the hope for peace. Just peace is suggested by the WCC as an alternative to the just war and pacifism. Economic justice is identified as an essence for peace. Tasks of the peac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re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such as nonviolent communication, nurturing of the peacebuilders, the peace education for encouraging the culture of peace, the care for the victim of violence and programs for violence prevention, media as a peace messenger, the peace mission in the public area, and strategies of peace mission in the troubled areas. The peace mission should be approached by inclusivism and Christian realism as well. For practicing the peace mission the Korean Church can learn about important lessons from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eace mission done by the member churches of the WCC during the Decade to Overcome Violence, from 2001 to 2010. The Korean Church is encouraged to study the precious experiences of the Peace Church (the Mennonites, the Quakers, and the Brethren Church) for enacting the peace mission.
        8,600원
        9.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Samuel Huntington has asserted, this world suffers from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diverse cultures. According to Paul Tillich, the core of culture is religion.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of culture without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religions.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tens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although the two have the same Abrahamic tradition. Afghanistan began its Islamic tradition in the 18th century in the Pashtun tribe in the area of Kandahar. A Korean short-term mission team sent by Saem Mul Church was kidnapped by the Taliban armed troops. Two members of the team were then killed by the Taliban in July 2007. The rest of them were released after negotiation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aliban were made. Koreans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short-term mission team sent from the Saem Mul Church in the city of Sung Nam, Korea. Some people rebuked them. Others kept silence. Some churches encouraged them. In this critical situation, the Korean Church was embarrassed.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Church overcome this crisis by providing missiological insights based on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First, missions need to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mise and the commission revealed in the Scripture. Second, missions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prayers of the church. Third,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the various cultural situations of the area where they are called to serve. Fourth, churches and missionaries should be one in Jesus Christ a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tates. Fifth, mission groups need to put a holistic mission into practice as Jesus Christ exemplified in His time on earth. Sixth, mission groups need to be free of an imperialistic paradigm in the age of postcolonialism. The Korean Church has to repent of negligence and pride over underdeveloped countries since it has become materially affluent. The Church needs to be incarnational in terms of attitude and holistic in terms of ministry in order to help the people to become Christians in a non-Christian world like Afghanistan. The blood shed by the two Korean short-term missionaries in Afghanistan will produce an indigenous church in the Islamic country because the blood of martyrs are the seed of the church as maintained by Tertullian in his Apology.
        7,000원
        10.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a lot of schools aim for open education and school. In the same context, Christian university can’t be equal to academy mission, building a high wall of a doctrine. As Paul confesses that I can do everything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for the Gospel under any circumstances, Christian university must be open for the Gospel. Above all, open school is open for all students and must be always ready for a meeting. Open Christian school is to ask a meaning of life and to meet students asking a question of existence, receiving them with a open mind and help them welcome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This is possible to be one in the center of Christ. School personnels who work in Christian university are to serve faithfully. They must take part in the faith training program actively and positively as ripe christians. Students who work in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christian groups have to cooperate each other in university. Because of spiritual superiority and arrogance of faith, we must not be separated and repeat past mistakes. On the contrary, we must receive in a humble way the comment that missionary organizations were a obstacle to academy mission. In the case of a part of missionary organizations, officials and core members used to build a wall and blame a church. And so, we have to improve this negative attitude. When members in campus as a God people have to cooperate each other and live in a place of life as the witness of the Gospel, the future of the campus mission will be better and brighter. We will get the vision of the future, conversing past history with present situation. First, we will examine the missionary history of christian university briefly and diagnose the situation of campus mission. On the basis of this diagnosis, we should present several important tasks to practice for mission. This paper will give a direction of campus mission with a limitation of research range. We will examine this paper in the center of Jeonju University .
        6,400원
        11.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rm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means the distorted, twisted, and fixed contexts which have lost the functional roles of the social integration in the specific cultural situations. The author tries to categorize three kinds of the distorted cultural patterns among the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by using an anthropological method. The first one is related to “distorted nationalism” in a refracted context of the traditional pre-modern culture in Korea. It has been shown up to the society as a phenomenon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orefather Dangun. The second one is to be known as “extremely twisted total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ilitarism in Korea. It has impacted on the politic, the economy, the religion, and even the education of Korean society. The third one is to be tied with “distorted mammon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aterialism. It has been rooted and fixed to “extreme ethnocentrism” in Korea. The author, then, argues that Korean churches should have God’s mission to integrate the distorted and twisted society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 which brings reconciliation and recovery to the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The distorted and twis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should be recovered to the grace community of God, the peace community of Jesus Christ, and the mission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In other words, the “distorted nationalism” in a refracted context of the traditional pre-modern culture in Korea has to be deleted in the society by God’s universal grace. The social oppressed and the weak can be protected and empowered by the grace of God. The “extremely twisted total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ilitarism in Korea can be nullified by Christ‘s sacrificial peace which brings the culture of resurrection and life. The “distorted mammon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aterialism in Korea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sharing community to the world by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 who gives th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Korean churches as the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Jesus Christ, and God the Father should have a social and missional role of integration within the refracted Korean contexts of the distorted nationalism, totalism, and materialism with God’s grace, Christ’s peace, and the Holy Spirit’s sharing witness to the world and the society of Korea.
        6,700원
        1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