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가람놀이, 아라놀이, 어울림으로 구성된 『우리는 너나들이』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 력을 키우는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자의 만5세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 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신장을 실행목표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협동 활동을 구안하고 환경을 조성하였 으며, 『우리는 너나들이』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활동자료를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또한, 『우리는 너나들이』협동 활동과 연계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사회적 능력 평가, 또래평정법, 학부모와 동료교사의 증명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확인하였다. 협동 활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개념과 필요성, 관심, 실천 등에서 폭 넓고 깊게 변화되었다. 이에 유아 협동 활동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당연성을 갖게 되어 다양한 관련 연구와 동료와의 협력 체계를 제언한 다.
This study started with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Why does organic agriculture want to be linked with cooperative?’ The second is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agriculture and cooperative?’, especially in Wonju. Up to now, there have been various kinds of discussion about cooperation between organic agricultural campaign and cooperative in Wonju. But there are few concrete data showing what role cooperative plays in the cyclical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consumption of organic agriculture. Thus, we conducted a surve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to the 35 organic agricultural specialists active in Wonju. First, small-scale family farm producers established a social economic cooperative network in around 2003 to perform ‘the activities of innovators’ through forming an organization. Producers moved from the stage in which they were supported one-sidedly by consumers to the stage where they could ‘lead’ cooperation. Each farm organization built a vertical integration, and horizontal cooperative systems with other farm organizations. But, practical cooperative activities have remained in the doldrums. They tend to show trends deviating from the principles of organic agriculture and cooperativ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in Wonju can be described as ‘producer-consumer cooperative type’. In Wonju, the producers’ organization is not a sub-contractor which simply delive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o producers’ cooperative, but is an equal subject which creates its own value chain. The cooper-ative (cooperative organization) leads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mutual communication. But, the closenes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has got loosened. And, it is problematic that the proportion of local food consumption in Wonju is very low. There is a very strong tendency to ride the central distribution system of producers’ cooperative coalitio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for producers’ cooperatives in Wonju to run a local food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cooperatives’.
본 연구는 협동적 요리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 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S 단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 집단 2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이경민(200)의 과학적 태도 검사와 김영옥(2003)이 개발 한 친사회적 행동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 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 협동적 요리 활동을 실시한 실 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협동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그림책을 감상하고 그림책의 협동 관련 이야기를 나눈 후, 모둠별 토의 활동을 통하여 그림책의 내용에 기초한 협동적 집단게임을 스스로 구성하고, 구성한 집단게임활동에 친구들과 협동하여 참여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H반 만 5세 유아 24명(남 12명, 여 12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3년 4월 23일부터 2013년 6월 27일까지 총 10주간 이루어졌으며, 총 활동 수는 27회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인 삼각측정법(Merriam, 1988)을 이용하여 녹화자료의 전사와 유아면담, 유아들의 활동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및 유아들의 활동 결과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은 비디오 녹화 자료의 전사 및 수집된 자료들의 통합, 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집단게임활동에서 유아들의 경험은 협동적 집단 게임이 경쟁 게임보다 더 즐겁다는 것을 알았고, 친구와 함께 만든 집단 게임이라 더욱 즐겁게 참여했으며, 게임의 승패보다 다양한 게임 방법을 서로 나누면서 즐거움을 느꼈다. 또 문제를 함께 해결하면서 사이좋은 친구가 되었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구와 협동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협동적 신체표현활동 경험이 만 4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협동적 신체표현활동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S시와 D시에 소재한 2개 단설유치원 종일제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6명이며, 12주 동안 총 11회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전과 사후검사를 위해 Babcock, Hartle과 Lamme(1995)의 평가척도를 기초로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협동적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협동적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감상하고 이야기를 나눈 후, 모둠별 토의를 통하여 그림책의 내용에 기초한 협동적 집단게임을 구성하고, 협동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협동적 집단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단설유치원 1개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며, 10주 동안 총 20회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계 문헌을 토대로 우수경(2002)이 제작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집단게임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C유치원의 만5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단 16명(남 8명, 여 8명), 통제집단 16명(남 8명, 여 8명)이었다. 실험처치를 위하여 실험집단은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그림책을 대집단으로 함께 보았다. 실험처치 기간은 2010년 10월 18일부터 2010년 11월 26일까지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연구도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Holloway & Reichhart-Erickson(1988)의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범주를 곽주영(1996)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래 상호작용은 자유선택활동시간동안 관찰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연구 대상 유아의 행동은 비디오로 촬영되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각각 15초 관찰, 5초 기록의 시간표집법으로 한 유아 당 총 60회(1200초)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을 사용하여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긍정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간 의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부정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가 포함된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규범에 대한 순응성, 지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위해 Sparrow와 Balla 및 Cicchetti(1985)가 개발한Vineland Adative Behavior Scales를 이영자, 이종숙, 양옥승(1988)이 번안한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규범에 대한 순응성, 지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동적 집단 원게임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생활주제에 적합하고 Orlick의 협동구조 게임의 4가지 개념(협동, 수용, 참여, 흥미)이 포함되며 유아들의 발달 수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고안한 16가지의 활동을 8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적 집단 원게임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사회적 능력 구성요인 중 주도성과 협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동적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협동적 집단게임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유아의 역할수용능력 검사를 위하여 Selman과 Byrne(1974), Flavell, Botkin과 Fey(1968), Landry와 Lyons-Ruth(1980)의 과제를 이미진(1985)이 번안·수정하고, 이현경(2000)이 재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협동적 집단게임 활동은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집단게임 활동에 따른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