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which was performed to bring public attention to the need for developing a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that detects smokes emitted from diverse fire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may not respond to certain smoke types depending on the size and color of smoke particles. The test was performed on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which is being used generally for specific fire targets specified in UL268, including paper fire, wood fire and flammable liquid fire, while the actual response performance of the fire detector, as well as respective smoke particles collected from different fire source which were photographed with a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re analyzed in the test for this study.
2010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화원관광단지의 인공해빈에서 해조상의 계절적 변화에 대한 정성 및 정량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조 식생의 계절적 변화는 인근의 자연서식지의 식생과 비교하였다. 인공해빈에서는 녹조류 8종, 갈조류 3종 및 홍조류 4종으로 총 15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으며, 자연서식지에서는 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및 홍조류 22종으로 총 38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인공해빈의 경우 겨울철에 Ulva compressa, U. intestinalis, U. prolifera, U. pertusa, 여름철에는 Urospora penicilliformis, U. intestinalis, U. compressa였으며, 자연서식지의 경우 겨울철에 U. pertusa, U. compressa, 여름철에 Sargassum thunbergii, Ishige okamurae였다. (R+C)/P 지수는 인공해빈에서 3.7~4.0, 자연서식지에서 2.6~3.4로 나타났다. 인공해빈의 해조 기능형군별 비율은 사상형 64.4%, 엽상형 21.9%, 분지형 13.7%로 분석되어 자연서식지의 기능형군별 비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Hwaweon 6’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Hwaseongbyeo’ and a wild species, Oryza minuta L. (Acc. No. 101154) based on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backcrossing. The recurrent parent ‘Hwaseongbyeo’ is a high grain quality cultivar with medium maturity. Hwaweon 6 is nearly isogenic to Hwaseongbyeo except a small O. minuta introgressed segment on chromosome 7 harboring genes related with spikelets per panicle. The preliminary and replicated yield trial was conduc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CARES), Yesan in 2009 and 2010. The local adaptability test wa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Seed Management Office (NSMO) in 2011 and 2012. This cultivar was registered to NSMO with a cultivar designated as Hwaweon 6. This cultivar averaged 80cm in culm length and has a medium growth duration. Milled rice of Hwaweon 6 is translucent and the grain quality traits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recurrent parent. The average yield potential of Hwaweon 6 in grain was about 6.57 MT/ha at the ordinary fertilizer level for two years about 3.0% higher than that of Hwaseongbyeo due to an introgress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for spikelets per panicle (qSPP7) from O. minuta. This variety is comparable to Hwaseongbyeo in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and cold tolerance. The qSPP7 QTL would be useful in enhancing yield potential in rice breeding program.
‘Hwaweon 7’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the African upland cultivar, ‘Moroberekan’ and ‘Ilpumbyeo’ based on marker-aided backcross selection. The recurrent parent, Ilpumbyeo is a high grain quality cultivar with medium to late maturity. Hwaweon 7 is nearly isogenic to Ilpumbyeo except a small Moroberekan introgressed segment on chromosome 6 harboring genes related with spikelets per panicle and internode diameter. The preliminary and replicated yield trial was conduc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CARES), Yesan in 2010 and 2011. The local adaptability test wa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Seed Management Office (NSMO) in 2012 and 2013. This cultivar was registered to NSMO with a cultivar designated as “Hwaweon7”. This cultivar averaged 80cm in culm length and has a medium growth duration. Milled rice of “Hwaweon7” is translucent and the grain quality traits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recurrent parent. The average yield potential of Hwaweon 7 in grain was about 6.48 MT/ha at the ordinary fertilizer level for two years about 5.1% higher than that of Ilpumbyeo due to increase in spikelets per panicle. This variety is tolerant to lodging and the tolerance is due to the APO1 gene controlling the base internode diameter on chromosome 6 introgressed from the donor parent, Moroberekan. The Apo1 gene would be useful in enhancing resistance to lodging in rice breeding program.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compared to that of its roo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flower petal of Paeonia lactiflora, we conducted the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FT-ICR) MASS spectrophotometric analysis. We detected the 24 different types of ingredients from the 70% ethanol extracts of flower petal of p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The main compounds were quercetin glucopyranosides, methyl gallate, paonioflolol and kaemperol glucopyranosides. We further tested its functional activity.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87.9-90.4% at 0.1mg/ml. This result showed that these flower extracts have approximately 5-fold stronger antioxidant potential than a previous report with root extracts (Bang et al. 1999). The result of tyrosinase inhibition assay of Paeonia lactflora extract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arbutin except significantly higher effect in the coral sunset extract at 0.1% concentration. Hyaluronidase inhibition assay showed 76.5% inhibition at 5% concentration of this flower extract, indicating that Peaonia lactiflora flower extracts have the major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brightening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se three Paeonia lactiflora species extracts might provide the basis to develop a new natural brightening agent.
‘화원 3호’는 종간교잡을 통해 화영벼의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고자 ‘97년 화영벼와 O. rufipogon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CR1112-5-2-1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 형질 중 이삭추출도, 적고를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화영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이었으며, 품종보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 3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8월 14일로 화영벼와 동일한 중생종 품종이다. 천립중은 22.1 gr으로 화영벼보다 1 gr 정도 무겁다.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 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충해에는 약하다. 도정 특성, 아밀로스 함량은 화영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화원 3호의 정조수량은 ’06~’07년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평균 7.23 MT/ha로 화영벼와 유사하였다. ‘화원 3호’는 화영벼와 근동질계통으로 자포니카 계통의 내냉성을 증진시키는 중간 모본 그리고 내냉성 유전자의 특성 분석을 위한 육종재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화원5호’는 ‘일품벼’의 유전적 배경에 ‘모로베레칸’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 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육성한 계통이다. ‘화원5호’는 ‘일품벼’의 유전적 배경에 염색체 1번, 4번 및 6번에 ‘모로베레칸’의 염색체단편이 이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색체 4번에 위치한 ‘모로베레칸’의 단편이 도열병 저항성을 증진시켰다. ‘화원5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 19일로 ‘일품벼’와 동일한 중생종 품종이며, 천립중은 23.8 g으로 ‘일품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완전미율은 ‘일품벼’에 비해 약간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일품벼’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화원5호’의 정조수량은 2005년부터 2006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평균 6.53 MT/ha로 ‘일품벼’ 대비 102% 수준이었다. 4개 지역에서 2개년간의 밭못자리 검정 및 연계재배법을 이용한 도열병 검정 결과, ‘화원5호’는 ‘일품벼’에 비해 도열병 저항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도열병저항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호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5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화원4호'는 '일품벼'의 농업적 특성에 모로베레칸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유망한 계통 CR502-3-2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도열병저항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 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4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1.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화원2호"는 종간교잡을 통해 화성벼의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고자 '97년 화성벼와 O. rufipogon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CR121-1-1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천립중, 출수기, 간장, 수당립수 등에서 화성벼와 차이를 보이는 화성벼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2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화원 2호는 중간모본 혹은 분자연구를 위한 재료로서도 유
"화원1호"는 종간교잡을 통해 화성벼의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고자 '97년 화성벼와 O. rufipogon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Marker aided selection)를 병행 실시하여 CR101-1-1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천립중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화성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이었으며, 품종보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1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1.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8월
화원 지점의 홍수시 유량은 수위가 상승할 때와 하강할 때 동일한 수위에 대해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이와 같이 이력효과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유량 환산 오차를 줄이기 위해 낙동강 본류 화원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한 고리모양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작성하였다. 하천유량과 단순 환산된 유량의 편차를 계산하기 위해 부정류 모의 사례로부터 (수위, 유량) 자료쌍을 획득하여 단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작성하였다. 이 관계에서 이탈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