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은 에티오피아에서 양념으로 쓰이는 가장 중요한 작목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생산성은 세계 평균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산성이 낮은 주요 원인으로는 품종의 다양성 부족, 낮은 영농기술 수준과 병해충 등을 들 수 있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의 농촌진흥청 국립원 예특작과학원으로부터 13종류의 마늘 품종이 도입되어 데브라 자이트와 쿨룸사에 위치한 농업연구소(Debre Zeit and Kulumsa agricultural research centers)에서 예비 실험이 진행 되었다. 도입된 13 품종 중에서 Namdo, Daeseo 및 Wangyo 57022 등 3 품종에서만 주아 (bulbil)가 형성이 되었다. 한국에서 도입된 마늘 3 품종의 적응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Namdo 품종은 구근의 직경이 38~60 mm였고 무게는 25.1 g부터 92.7까지로 다양하였다. 구근은 8~11 쪽으로 구성 되었다. 2. Namdo와 Daeseo 등 한국 품종들은 Kuriftu라는 지역 품종에 비하여 구근의 크기는 약 2배 정도 컸으며, 마늘 쪽의 무게는 약 5배 정도 무거웠다. 하지만 성숙까지의 기간은 지역 품종(120일)에 비하여 약 60일 이상 길었다 (179일). 3. 쿨룸사 농업연구소에서 진행된 재배결과에서는 지역 품종인 Tesday의 생산량은 12.87 t/ha으로 Namdo (9.53 t/ha) 및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Namdo 품종의 구근 무게는 지역 품종인 G-104/94에 비하여 50%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반면, 쪽의 숫자는 9개로 G-94-1/94의 14 개와 Tseday의 23개 보다 유의적으로 적었다. 즉, 상품성 측면에서 한국 품종이 우수하다는 결과로 사료되었다. 4. 파종시기에 따른 Namdo 품종의 발달 차이를 살펴본 결과 높이, 7월 중순에 파종한 경우가 8월이나 9월에 파종한 경우보다 마늘 쪽의 두께, 크기 및 무게가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에서 도입된 품종 중에서 특히, Namdo의 경우 성장 기간이 조금 떠 짧아질 수 있다면 에티오피아에서 생산이 가능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on cognitive function retardation in old age using dietary survey and cognitive function test. The subjects were 332 men of 50-94 years old and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very similar. The cognitive function was tested by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which was translated from MMS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was used for dietary survey. Scoring of MMSE-K was a little different from MMSE, that is, in case of no education, one to four points were added to exclude the effect of educ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confounder by many researchers. The number of subjects belonging to below 23 of MMSE-K score was increased by increasing age. Even though points were added in case of no education, the ratio of below 23 MMSE-K score group was diminished by increasing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seems not to be a confounder but a independent variable on cognitive function. Income, past occupation, family type, self-evaluated health status did not play any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nutrients and the score of cognitive function test showed that the more consumption of vitamin A and protein, the higher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obtained. In case of iron and Ca,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ing cognitive function score by increasing the intake of those nutri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micronutrient intakes might be more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than macronutrients.
The ‘Cheongun’ is a rice variety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462’ which has translucent milled rice and medium maturity and ‘Milyang192’ that the elite line has a bacterial blight resistance and mid-late maturing property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NICS, RDA in 2012. The heading date of ‘Cheongun’ is August 13 and five days later than check variety, ‘Hwaseong’. It has 87 cm of culm length and 114 spikelets per panicle. It showed weaker cold tolerance than that of ‘Hwaseong’while exposed to cold stress. ‘Cheongun’ showed resistance to blast disease, K1, K2 and K3 race of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K3a race, other viruse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short grain shape. It has similar protein content (6.7%) and amylose content (19.5%) to that of ‘Hwaseong’. ‘Cheongun’ showed better palatability index of cooked rice than that of ‘Hwaseong’. Its milled rice recovery rate is similar to those of ‘Hwaseong’. However,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is higher than that of ‘Hwaseong’. ‘Cheongun’ has 4.98 MT/ha of milled rice productivity in ordinary cultivation. ‘Cheongun’ could be adaptable to the middle plain area in Korea (Registration No. 5114).
‘청운’은 중부지역 적응 중생종 벼 품종의 재배안정성과 다양성을 확대하고 내병성 및 내재해성을 강화하여 이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외래품종을 대체할 목적으로 ‘수원462호’를 모본으로 하고 ‘밀양192호’를 부본으로 하여 2002년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인공교배 한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선발계통에 대해 2008∼2009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여 중생종으로 밥맛이 우수하고 복합내병성을 가진 SR27931-25-3-2-1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3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0∼2012년 3개년 간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중부평야지 및 중서부해안지에 적응하는 ‘청운’을 육성하였다.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8월13일로 중생종으로 반직립성의 양호한 초형이며 이삭추출도 양호하고 탈립은 잘 되지 않는다. 수발아에 강한 ‘청운’은 주당수수는 ‘화성’과 비슷하나 수당립수가 많다. 또한 쌀이 맑고 투명한 ‘청운’은 백미완전립율과 완전미 도정수율이 ‘화성’에 비해 우수하고 단백질 함량이 6.7%, 아밀로스 함량이 19.5%이며 밥맛 관능검정에서 ‘추청’보다 우수하였다. 벼멸구에는 약하나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모두 강한 복합내병성을 가지고 있다. 수량성은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5개소)에서 498㎏/10a로 ‘화성’(486㎏/10a)과 비슷하였다. ‘청운’은 중부지역에 많이 재배되고 있는 외래품종보다 도정특성, 쌀 품위 및 밥맛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화원5호’는 ‘일품벼’의 유전적 배경에 ‘모로베레칸’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 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육성한 계통이다. ‘화원5호’는 ‘일품벼’의 유전적 배경에 염색체 1번, 4번 및 6번에 ‘모로베레칸’의 염색체단편이 이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색체 4번에 위치한 ‘모로베레칸’의 단편이 도열병 저항성을 증진시켰다. ‘화원5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 19일로 ‘일품벼’와 동일한 중생종 품종이며, 천립중은 23.8 g으로 ‘일품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완전미율은 ‘일품벼’에 비해 약간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일품벼’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화원5호’의 정조수량은 2005년부터 2006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평균 6.53 MT/ha로 ‘일품벼’ 대비 102% 수준이었다. 4개 지역에서 2개년간의 밭못자리 검정 및 연계재배법을 이용한 도열병 검정 결과, ‘화원5호’는 ‘일품벼’에 비해 도열병 저항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도열병저항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호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5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화원4호'는 '일품벼'의 농업적 특성에 모로베레칸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유망한 계통 CR502-3-2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도열병저항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 호원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4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1.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본 연구는 모로베레칸의 잎도열병 저항성유전자를 탐색하고, 이 저항성유전자와 연관된 분자표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열병에 이병성인 일품벼와 도열병에 강한 모로베레칸을 교잡하여 육성된 140개 BC3F3 계통을 도열병 균계 반응을 통한 저항성 유전자 탐색에 이용하였다.
Blast resistance of one hundred and thirty-one rice cultivars bred in Korea was tested with thirty Korean isolates and twenty-two Philippines isolates using three screening methods. In the blast nursery conducted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average disease index of rice cultivars were 4.6 and 2.2, respectively. Seventy-nine cultivars showed different resistance reaction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and 19 cultivars showed the same resistant reaction in two locations. In the seedling test, Korean blast isolates displayed different levels of virulence. 93-093, a Korean isolate, was compatible with 90 cultivars whereas 97-057 showed a compatible reaction with 13 cultivars. Twenty-three cultivars showed high level of resistance against Korean and Philippines isolates but Chucheongbyeo, Heugnambyeo, and Manmibyeo showed susceptible reaction to all blast isolates. Through the sequential planting test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Palgongbyeo and Seomjinbyeo displayed durable resistance, and Nagdongbyeo and Gihobyeo showed high level of disease infection over the planting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last isolates collected in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genetic background and number of compatible isolates should be considered in definition the durability of rice cultivar to rice blast.
Blast resistance of 18 rice cultivars which recommended as a high quality rice cultivars evaluated by blast nursery test, seedling test, and field screening and sequential planting methods. Sangmibyeo, Hwayeongbyeo, and Dongjin 1 were showed high resistance reaction to leaf blast at the blast nursery continuously, while Chucheongbyeo showed highest disease severity. All of the early maturing cultivars, Odaebyeo, Junghwabyeo, and Sangmibyeo, showed the lowest compatibility against 25 blast isolates. Saechucheongbyeo, a multiline variety of Chucheongbyeo genetic background showed 45.8%, half compatibility of 82.6% in Chucheongbyeo against 25 isolates screened. Diseased leaf areas (DLA, %) of cultivars were very low level at all test sites in the field test. Three cultivars, Sangmibyeo, Ilmibyeo, and Junghwabyeo didn’t show any leaf blast lesions across the test sites. The most variable incidences of panicle blast were observed on Odaebyeo which was 42.4%, 0.4%. and 0.0% at Jaecheon, Naju, and Chuncheon, respectively. In the sequential planting method, four rice cultivars, Nampyeongbyeo, Sindongjinbyeo, Hwayeongbyeo, and Junambyeo showed less than 40% disease leaf area (DLA) from 1st planting to 7th planting, so those cultivars were considered as a durable resistant rice cultivar against rice blast diseases.
A sequential planting method was developed to identify durable blast resistance in Korean rice cultivars. Two types of ric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by a sequential planting after inoculation of mixed 26 rice blast isolates. Daesanbyeo and Gihobyeo, 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