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압력 이미지 센서를 활용한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이 척수손 상 환자들의 주요 합병증인 욕창의 예방에 있어서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후 향적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기간이 1년 미만인 척수손상 환자들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다. 실험 군은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당시 본인 소유의 휠체어 방석으로 진행하여 본인에게 맞추어 압력 치 가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다양한 이유로 조정된 휠체어 방석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없는 66명의 환자로 분류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휠체어 방석 압력분포 조정 이후 1년과 2년 뒤에 한 차례씩의 욕창 발생과 시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 조사결과에 따른 두 군 간의 욕창 발생률과 발생 시기를 비교 분석하여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 정평가가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에 미치는지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 은 p < .05로 정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간에 욕창이 발생 된 확률의 차이 결과는 모두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나(p > .05), 욕창의 발생 시기에 대한 두 군 간의 비교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결론 : 한 번의 휠체어 방석의 압력분포 조정만으로는 욕창 예방효과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웠다. 하지만 시기에 맞는 유지 관리를 지속할 수 있다면 향후 척수손상 환자들의 욕창 예방 관리에 매우 좋은 방안 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t is known that hand strength and fingertip force are used as an indicator of muscle strength and are also highly related to the various chronic symptoms and even lifespan. To use the individual fingertip force (IFF) as a quantitative index for clinical evaluation, the IFF should be measured and analyzed with various variables from various subjects, such as the normal range of fingertip force and the difference in its distribution by disease. Objects: We tri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mean maximum IFF distribution during grasping a cylindrical object in healthy adults and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Methods: Five Force-sensitive resistor (FSR)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fingertips of 24 healthy people and 13 patients with SCI. They were asked to grip the object three times for five seconds with their maximum effort. Results: The mean maximum IFF of the healthy adult group’s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 was similar statistically and showed relatively larger than IFF of the ring and small finger. It is a 3-point pinch grip pattern. All fingertip forces of patients with SCI decreased by more than 50% to the healthy group, and their IFF of the middle finger was relatively the largest among the five fingertip forces. The cervical level injured SCI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FFs compared to thoracic level injured SCI patients. Conclus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rehabilitation diagnosis and therapy goal decision with robust further study.
        4,000원
        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항생제를 제시하기 위해 V. vulnificus의 독소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된 18균주와 전남지역에서 채취된 어패류 및 횟집 수족관수에서 분리된 5균주, 총 23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 23균주 모두 V. vulnificus로 재확인되었다. V. vulnificus 균주의 독소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3균주 중 19균주(82.6%)에서 RtxA 독소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23균주 모두에서 viuB와 vvhA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독소유전자의 검출율이 기존 보고에 비해 높은 것이며, 실험에 사용한 모든 V. vulnificus 균주가 1개 이상의 독소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생선회 섭취와 상처를 통한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횟집 종사자 등에 대한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V. vulnificus에 대한 항생제 내성 실험결과 cefoxitin 항생제에 94.4%가 내성을 나타내었고, chloramphenicol과 tetracycline 등 14종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에 chloramphenicol과 tetracycline 항생제를 사용하는 현 치료법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Candida species in patients with oral disease and clarify the distinction of Candida culture test according to its isolation technique. 75 samples was isolated from 42 patients who visit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e to oral disease from December 2015 to August 2016. For isolating the candida sampling, saliva sampling and oral swabbing were used. Acquired sampling was cultured in CHROMagar Candida Culture Medium, which indicates the candida species as color. Of the 42 patients, C. albicans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species in 39 patients. For 17 patients out of 21 who underwent saliva sampling and oral swabbing simultaneously, oral swabbing was quantitatively underestimated comparing to saliva sampling. 12 samples in 21 samples having particular Candida species were not isolated by oral swabbing.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fungal infection in various oral disease,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not only oral swabbing but saliva sampling when isolating Candida.
        4,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뇌경색 질환은 기온차가 급격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Brain MRI를 검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절기와 동절기를 비교하여 기온차에 따른 Brain Infarction 환자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하절기(2012년~2014년 6월-8월)와 동절기(2012년~2014년 11월- 1월)에 본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 중 MRI Brain acute stroke, MRI Brain diffusion, MRA Brain + diffusion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절기 1001명(남:574명,여:427명), 동절기 1141명(남:586명, 여:555명)을 대상으로 판독 결과가 infarction으로 나온 환자의 성별, 연령별로 분류 하였다. 결 과 : Infarction은 하절기 393명(남:249,여:144), 동절기 455명(남:259,여:196)으로 확인되었다. 하절기 393명 중 20대 4명 (남:3,여:1) 30대 3명(남:1,여:2), 40대 16명(남:10,여:6), 50대 74명(남:60,여:14), 60대 72명(남:55,여:17), 70대 123명(남:73,여:50), 80대 84명(남:37,여:47), 90대 16명(남:10,여:6), 100대 1명(여:1)이었고, 동절기 455명 중, 30대 3명(남:2,여:1), 40대 16명(남:12,여:4), 50대 60명(남:47,여:13), 60대 99명(남:65,여:34), 70대 162명(남:95,여:67) 80대 101명(남:35,여:66), 90대 14명(남3,여11)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응급실에 내원한 Brain MRI 검사환자 중 하절기 보다는 동절기에 뇌경색 질환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연령대는 70대에서 뇌경색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6.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used an unstable platform to change the support surface type and position of both lower limbs in order to determine changes in weight distribution and muscle including the vastus medialis, tibialis anterior, lateral hamstring, and lateral gastrocnemius of both lower limbs were evaluated during knee joint flexing and extending in a semi-squat movement in 32 hemiplegic patients. The support surface conditions applied to the lower limb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dition 1 had a stable platform for both lower limbs; condition 2 had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condition 3 had a 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and condition 4 had an unstable platform for both sides.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of muscles and weight bearing ratio of both sides in the four surface condition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for the hemiplegic side in flexing and extending sessions in condition 2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p<.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ignificant decrease in asymmetrical weight bearing in flexing and extending sessions was observed for condition 2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p<.05). A similar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in differences in muscular activity for both lower limbs in condition 2 (p<.05).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hemiplegic side, based on the support surface for each muscle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condition 2 (p<.05).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therefore increased symmetry in terms of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rate and muscle activity of lower limbs in hemiplegic patients. The problem of postural control due to asymmetry in hemiplegic patients should be further studi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continuous effects of functional training based on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support surfaces and functional improvemen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