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자평진전에 나타난 유력(有力)⋅무력(無力) 개념의 이론적 의 미와 해석 기준을 체계화하고, 유력⋅무력 사주 사례 분석을 통해 통변(通辯)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명리 해석과 상담에서 이 개념이 갖는 의미와 확 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력한 사주 사례로는 식신제살(食神制殺)과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있다. 식 신제살은 강한 일간이 식신으로 칠살을 제어하는 구조로, 실행력과 위기 대응 능력이 뛰어나 실무⋅보안⋅상담 분야에 적합하다. 관인상생은 관성이 인성을 통해 조화롭게 작용하는 구조로, 신뢰 기반 리더십을 바탕으로 공직⋅교육⋅법 조 등 제도권 직무에 어울린다. 무력한 사주 사례로는 제살무력(制殺無力)과 무식상 편재격(無食傷編財格)이 있다. 제살무력은 칠살을 제어할 식신이 부 재하고 일간과 상신이 무력해 격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분석과 정리 중 심의 보조적 역할에 적합하다. 무식상 편재격은 식상이 없어 편재 운용이 어렵고 재성⋅관성 혼잡으로 환경 의존성이 높은 구조이므로 외부 자원에 따른 실적형 실무에 어울린다. 현대 사회는 유력하거나 무력한 사주라도 개인의 역량, 자원, 아비투스 등 에 따라 적용되는 방식이 달라지므로 유연한 통변(通辯)이 필요하다.
        7,0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북송대 이래 청대까지 자평명리학의 주요 원전에 나타난 用神에 초점을 맞춘 문헌연구를 통하여 子平眞詮의 用神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둘 러싼 용어상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子平眞詮의 用神은 용어상으 로는 子平三命通變淵源의 ‘用神’을 따르고, 의미상으로는 滴天髓 원문의 ‘用事之神’을 취한 것이다. 따라서 子平眞詮에서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의 미로서 四柱의 전체 局을 ‘관장하는 神’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子平 眞詮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줄임말이므로 다른 원전의 ‘所用之神’과는 확 실히 구별할 필요가 있다. 子平眞詮에서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의미로서 ‘之’는 단순수식 기능의 어조사이므로 줄여서 ‘용사신’으로 해석할 것을 제 안한다. 子平眞詮에서는 먼저 월령을 기준으로 用事神을 정한 후 그 用事 神을 기준으로 日干과 用事神의 생극관계에 따라 격국을 정하는 2단계 구조 라고 볼 수 있다. 즉 用事神이 독립변수라면 격국은 종속변수인 것이다. 한편 심효첨은 ‘用事之神’을 돕는 역할로서 相神을 도입했다. 심효첨이 相神을 도입한 것은 ‘用事之神’을 간단히 줄여 用神이라고 표현하면서 생기는 용어상의 중복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6,100원
        3.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청대 명리학 고전 『자평진전』 격국⋅용신의 부귀론 연구 에 있다. 기존 학계에서 여러 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지만, 발표된 논 문의 글이 인사(人事)와 어떤 연관이 있고 또한 인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 성과를 찾기 어렵다. 이에 필자가 『자평진전』 격국⋅용신을 연구한 결과, 『자평진전』 격국⋅용신이 동서고금의 거의 모든 사람이 소망하는 부귀 에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 부귀는 오늘날 현대인의 소망이기 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자평진전』 격국⋅용신에서 사용되는 길신⋅흉신의 유래와 변천과정 및 유래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순용(順用) 격국⋅용신론’의 부귀 론과 ‘역용(逆用) 격국⋅용신론’으로 나눠서 부귀론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네 길신인 정관, 인수, 식신, 재성은 순용(順用)하고, 네 흉신(凶神)인 칠살(편관), 상관, 양인, 겁재⋅일록은 역용(逆用)하는 데에 있다는 것과, 또한 네 길신(吉 神) 순용에는 음양오행설의 생(生), 네 흉신 역용에는 음양오행설의 극(剋)과 합(合)과 설(洩)의 이론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문헌의 격국⋅용신론이 최종 지향하는 바는, 재물획득을 통한 부(富)와 관직획득을 통한 귀(貴)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이 문헌 격국⋅용신론의 핵심이 ‘부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