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81.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ical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was measured at 4 sites in Pusan. All the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high volume air sampler from January to October 1996, to analyze major ions and heavy metals. Dominant ions of aerosols were SO42- in anion and Na+ in cation.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ions in aerosols showed high enrichmentfactor to soil and seawater compositi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aerosols was lowest at the site P1 near the coast. The lowest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and heavy metals mainly appeared in August, probably due to scavenging by frequent rains.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TSP) and heavy metals in aerosols showed good correlations in Pusan. Based on crustal Al, enrichment factors for some metals(Zn, Cu, Pb, Cd) in aerosol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unity, and the order was Cd > Pb > Zn > Cu. This evidence suggests that Cd and Pb are derived predominantly from non-crustal sources.
        83.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aehyun sericite deposit in socheon-myun, Bongwha-gun, Kyungsangbuk-do, Korea, has been formed by the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Hongjesa granite of Precambrian age, leaving the muscovite granite between ore body and the Hongjesa granite as the wall rock alteration zone. The process of sericitization of granitic rock as well as chemistry and structures of sericites were studied using polarizing microscope, X-ray diffractometer (XRD),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EPMA) and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here are two genetic types of sericites having different chemistry and structure. The early sericite is of 2M1 polytype and has octahedral composition close to muscovite. It has been formed from the primary muscovite, tourmaline and quartz under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The late sericite is of 1M, 2M1 and 3T polytypes and has phengitic composition. It has been formed form feldspar, biotite, muscovite and tourmaline under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hemical analyses show t, the early sericite has less Mg+FeT content and lower Si/AlIV ratio in tetrahedral site than the late sericite.
        85.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sampled in Cheju City from July 1994 to June 1996.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Cl^-, SO_4^2-,NO_3^-, Na^+, K^+, Ca^2+, Mg^2+ and NH_4^+) were determined. The pH of rainwater, calculated from the volume weighted H^+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5.61, indicating extensive neutralization of the acidity in the rain. The relative magnitude of average ionic concentrations followed the relation Cl^-> SO_4^2-> Na^+> Ca^2+> NH_4^+> NO_3^-> Mg^2+> K^+. The ions associated with sea salt, namely Na^+ and Cl^-, dominated the total concentration of ions in the rainwater and the SO_4^2- ion accounts for 20% of total concentration. [H^+]/[nss-SO_4^2-+NO_3] ratio and a multiple regression for SO_4^2- and NO_3^- ions against H^+, Ca^2+ and NH_4^suggested that all of SO_4^2+ and NO_3^- in rainwater was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H_2SO_4, anf HNO_3, but might also occur in combination with NH_4^+ or Ca^2+. The monthly mean concentrations of SO_4^2-, Ca^2+ and NH_4^+ in spring time was higher than those in other seasons. These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fertilizer application as the local sources and the yellow sand phenomina as a regional-scale sources.
        86.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군광산의 산화망간광석에서 자연산 (Ca, Mg)-부서라이트를 발견하였는바, 이는 퇴적 또는 변성기원이 능망간석의 표성 풍화에 의해 형성되었다. 부서라이트는 란시아이트와 함께 세립의 부서라이트-란시아이트 염편을 이룬다. 이 (Ca, Mg)-부서라이트-란시아이트는 엽상의 작은 결정으로 산출되나. 이는 세립의 다카넬라이트 집합체 주위에 침전되어 있다. 전자현미분석 결과, 장군 광산의 (Ca, Mg)-부서라이트는 (Ca.08Mg.07Mn.0562+)Mn.894+O2·1.46H2O의 화학식을 갖는다. 상대습도의 조절 및 가열에 의한 탈수실험과 상대습도 조절에 의한 재수화 실험에의하면, (Ca, Mg)-부서라이트는 90˚C에서 완전히 탈수되며 27%만이 재수화된다. 상대습도 26%에서의 (40℃로 가열한 경우와 일치하는) 탈수현상은 9.86a 회절선의 9.60a으로의 감소 및 강도의 감소로 특징지워진다. 이는 층간의 매우 약하게 결합된 물분자의 방출에 기인한다. 40℃에서 90℃까지의 가열에 의한 탈수현상은 001 회절선이 9.60a에서 7.42a까지 점이적 이동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는 층간에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물분자의 방출에 의한 것이다.
        88.
        199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 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89.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38종의 유색 대두종실을 공시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Texturometer를 이용한 취반에 따른 물리적 변이를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1. 대부분의 유색 대두는 황태에 대한 기존의 재래종 대두 분석결과보다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종실중의 차이에 따른 종실성분의 변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2. 100립중이 25-30g인 대립군의 유색 대두종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이계수를 나타내었다. 3. 유색 대두의 Texturometer curve에서는 Hardnes, Cohesiveness, Elasticity만 반응을 보였고, Hardness는 종실중에 의하여, 기타의 Parameter들은 종실중 자체에 의하여 달라서 동일한 특성이나 종실중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4. Hardeness와 Elasticity는 낮은 C. V치를, Cohesiveness와 Gumminess 및 Chewiness는 40% 이상의 높은 C.V.치를 나타내었다. 5. Hardness, Elasticity, Chewiness는 상호간에 정상관을 보이는 반면 이들과 Cohesiveness, Gumminess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Hardness와 Elasticity는 탄수화물 함량과 정상관을 단백질 함량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Cohesiveness는 이들과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