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oxiredoxin V, an atypical thioredoxin peroxidase, is widely expressed in mammalian tissues. In addition, Prdx V is localized in mitochondria, peroxisome, cytosol, and nucleus. Prdx V has been reported to protect a wide range of cellular environments as antioxidant enzyme, and its dysfunctions may be implicated in several diseases, such as cancer, 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Identification and relative quantification of proteins affected by Prdx V may help identify novel signaling mechanisms that are important for oxidative stress response. However, the role of Prdx V in the modulation of hypoxia‐related cellular response is not studied yet. In order to examine the function of endogenous Prdx V in hypoxic condition in vivo, we generated a transgenic mouse model with Prdx V siRNA expression controlled by U6 promoter. Of many tissues, the knockdown of Prdx V expression was displayed in kidney, lung, and liver, but not spleen and skin. We conducted on the basis of nano‐UPLC‐MSE proteomic study to identify the Prdx V‐affected protein networks in hypoxic kidney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rotein network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fatty acid metabolism,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dx V affected to regulation of kidney homeostasis under hypoxia stress.
        3.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는 에틸렌에 의해 호흡량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호흡급등형 과실이다. 에틸렌 발생은 세포벽분해효소 활성화와 세포벽 연화를 진행시켜 사과의 상품성과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사과의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는 Md-ACS1 및 Md-ACO1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으며, 두 유전자는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과 국내육성 28품종의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Fuji(FJ)', ‘RubyS (RS)', ‘Hongro(HR)', ‘Arisoo(AS)', ‘Summer King(SK)', ‘Greenball(GB)', ‘Golden Supreme(GS)'을 대상으로 수확 후 25일까지의 에틸렌 발생량 및 상온저장(20℃) 20일 동안의 경도 연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관련 된 대립유전자(favorable alleles0(FA)) ACS1-2, ACO1-1이 많을수록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GS은 ACS1-1/1, ACO1-1/2(FA 1)으로 모든 품종 중 가장 높은 에틸렌 발생 수치와 경도 연화율를 보였다. SK와 GB은 ACS1-1/2, ACO1-1/2(FA 2)으로 ACS1-2/2, ACO1-1/2(FA 3)인 HR와 AS 보다는 높고 GS 보다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을 보였다. ACS1-2/2, ACO1-1/1(FA 4)인 FJ는 RS를 제외한 모든 품종 중에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과 사과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연화율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d-ACS1 및 Md-ACO1 분자표지를 사과 국내육성 품종의 저장성 예측과 육종 효율 향상을 위한 Markerassisted selection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