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 B. 예이츠는 완벽주의 시인이다: 내가 알기로는 어느 누구도 그처럼 꾸준히 작품을 수정한 시인은 없다. 또한, 그가 작품을 만질수록, 시들이 전보다 더 완벽해진다. 본 논문은 시 형식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시의 내용을 어떻게 다듬었는 지도 검토한다. 저자는 예이츠와 애쉬버리를 비교하기 위해서 애쉬버리의 “삽화”와 예 이츠의 “시립미술관을 다시 찾다”을 다룬다. 현대와 당대의 시의 차이점을 찾기 위해 두 시의 앙장브망을 연구한다.
        6,100원
        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엘리엇과 애쉬베리의 시와 시론들을 통해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이후의 시학의 차이를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런 차이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체계'를 향한 모더니즘의 요구가 위에서 또는 멀리서 바라보는 시선의 위계적 구도 속에서 진행되고 있음에 우선 주목하였다. 어떤 고전적인 서사도 가능하지 않는 프루프록의 진퇴양난 속에서 이런 위계적 시선의 구도가 결국 무너질 수 밖에 없음이 발견되었다. 애쉬베리의 시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가?”라고 묻는 프루프록의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답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애쉬베리는 “공허” 앞으로 여러 감정들이 마술경처럼 지나가는 묘사를 통해 "부재의 기호“를 중심으로 기호들이 떠도는 탈구조주의적 풍경을 우선 그려내고 있다. 위에서 바라보거나 의미를 읽어내려 하지말고 “인생의 긴 시간 사람들과 같이 살아온” 것처럼 느끼며 시작하라고 애쉬베리는 말한다. 애쉬베리의 시를 통해 우리는 감정들이 계속 이어져가고 “밀려오고 밀려가는 움직임” 속에서 하루하루가 완성되는 새로운 숭고의 순간을 발견할 수 있었다.
        3.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존 애쉬베리의 작품『세 시』는 T. S. 엘리엇의 모더니즘 시『네 사중주』에 대한 포스트모던적인 반향이다. 엘리엇은 “육화”를 “회전하는 세계” 속에서 궁극적인 “정점”으로 동일시함으로써 기독교적인 중심을 갖는다.『세 시』를 면밀히 분석해보면 애쉬베리가『네 사중주』의 특정한 언어와 생각에 공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우리가 시간에 포섭되는 것을 거스르는 엘리엇의 기독교적인 주장을 해체하고자 했다. 엘리엇의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유럽중심적인 고착이 자신들만의 문화적 구조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발전시키는 비서구사회의 독자들에게 문제시될만한 영향을 만들어내는 반면에, 애쉬베리의 보다 평등한 중점은 비서구사회의 문화적 구조에서도 보다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애쉬베리의 비정치적인 주체적 병합은, 즉 탈중심화된 주체는 그 자체가 유럽중심주의라는 측면에서 문제시 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비평가들이 논의해온 것처럼, 탈중심화된 정체성은 비서구사회와 소수민족들이 정체성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순간 특권을 갖는다. 애쉬베리의 엘리엇에 대한 비위계적이고 탐구적인 비평은 유럽중심주의에 반하는 좀 더 성공적인 미적 대응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Eliot has attracted an unprecedented degree of worldwide attention for almost a century but he has rarely been approached from the angle of his politics to the third world reader. His proclaimed position as anglo-Catholic, monarchist, and classicist, however philosophically pure he stood for these values, does not seem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 of the third world, most countries of which were once colonized and have continued to be under its prolonged traumatic influences. Eliot’s west- centered value amounts to supporting the ideology through which the imperialism of the previous centuries exploited the third world and rationalized their deeds in the course. John Ashbery, on the other hand, shows a relativistic worldview in his “Self-Portrait in a Convex Mirror,” whose apparent subject matter is an Italian Mannerist self-portrait with the same title. Ashbery in the poem questions the hierarchical value system, which Eliot shows in Four Quartets. Ashbery, refusing to attribute any superior values to certain views or notions over others, reasons that one cannot rely on any absolute values or premises. Questioning the validity of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values on which traditional societies relied, he presents diverse postmodernistic skeptical visions on such issues as center versus periphery, appearance versus reality, and intention versus outcome. In the work, however, he is not absolutely without a tint of Eliotian propensity toward the transcendental, enriching its poetic sugges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