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4,000원
        3.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측지의 시상 상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관측지에서 시상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부산 지역에서 시상에 관한 체계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천문대에서는 2008년 5월부터 SBIG사의 시상 모니터를 도입, 매일 시간별 시상을 꾸준히 측정하고 있다. 시상 측정은 CCD로 직접 천체 이미지를 촬영하여 FWHM지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지난 8개월 동안 시상 모니터를 운영하면서 얻어진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에서의 시상 자료를 바탕으로 KSA SEMO에서의 시상 패턴을 'Sunset/sunrise Effect', 'Extreme Fluctuation', 'Sudden Increment', 'Daily Variation', 'Stable Condition' 등으로 분류하였다. 시상은 전반적으로 오전 1시에서 3시까지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시상이 겨울보다 좋았다.
        4,000원
        5.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igated the astronomical observational environments at the Choejung-san GEODSS site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 of Taegu, Korea.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seeing and night sky brightness were measured outside nearby the GEODSS site using the Celestron 8-inch portable reflector with $192{\times}165$ pixels Lynxx CCD camera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94 to April 1996. The average seeing values of 4.8 arcsecond in B filter and 5.1 arcsecond in V filter were determined using the IRAF software. These values might be overestimated and would be reduced by at least 1 arc second in both filters if they were measured by more stable telescope system with solid mount and under a dome. We also compare the average seeing value at the GEODSS site with those at three other observatories,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the Sobaek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an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for justification of the above guess. Unfortunately the night sky brightness measurement was not successful mainly due to the short exposure time. The utilizing plan of the GEOSS site is discussed based on the average seeing value, naked-eye sky brightness measurement, analysis of the existing thirty-year weather data and twenty-year urban planning of the metropolitan Taegu city for the year of 2016.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