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무용을 기반으로 한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참여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A대학교가 협업하여 진행한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특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 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수업 관찰 및 면담조사 등의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무용 기반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참여 정도’, ‘적극적인 표 현과 반응’, ‘창작 활동의 적극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스스로 결정하 고 행동하는 자율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현 거부’와 ‘소극적인 표현’에서 점차 ‘적극적인 표현’, ‘망설임 없는 표현’, ‘자유로운 표 현’ 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자기표현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대방 행동에 ‘적극적인 반응’과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고, ‘적극적인 팀 활동’, ‘협동 심’, ‘양보’, ‘배려’, ‘자신의 감정 통제’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 회적 행동 촉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7,800원
        2.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 유아의 자율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만 5세 유아 34명(만 4세 9명, 만 5세 25명)이었다. 실험집단은 17명(만 4세 5명, 만 5세 12명), 통제집단은 17명(만 4세 4명, 만 5세 1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 자율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이학선(2007)에 의해 개발된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유치원의 일과활동과 관련되며 자율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자율성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율성 증진 교육활동은 등원 및 일과계획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정리정돈 및 전이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집단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평가 및 귀가에서의 유아 자율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