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composition and density of fisheries resource using bottom trawl in April, July, August, and November 2022 in the East China Sea. The average density of fisheries resource was estimated using the swept area method. As a result, 35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China Sea. These included 21 fishes, six crustaceans, six cephalopods and two echinoderms. Seasonally, the average density of crustacean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November (692.1 inds./km 2 ), while cephalopod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August (39.4 inds./km 2 ). The average density of fish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August at 355.0 (inds./km 2 ).
        4,200원
        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5.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catches of vertical bottom longline fisheries in the sea mount of central northern Pacific(30˚-42˚N, 170˚-175˚E), during the period of July 1 to August 25,2004 by commercial fishing vessel. The number of 57 test fishing was carried out in the central northern Pacific during 43 days and the total catches were 21,092.4kg as 19 fish species, CPUE/day and catches/day were 185 baskets and 490.5kg, respectively. Main fish species caught from the experimental fishing were Squalus mitsukurii (66.3%), Coelorhyrchus asperocephaius (11.7%) and Helicolenus avius (9.8%) and, average inside diameter for fish mouth was 4.0cm over. Catch ratio according to each fishing ground was the order of F, D, J, B and C. Catch ratio fur water depth was the order of 450-500m, 350-400m, 300-350m, 400-450m, 1000-1100m and 500-550m and, main species by water depth was Squalus mitsukurii for 300-400m, Etmopterus lucifer for 300-550m, Coelorhyrchus asperocephaius far 1,000m over. Catch ratio according to the kind of hooks was higher at the hook no.6 for Squalus mitsukurii and no. 5 for Etmopterus lucifer and, catch ratio by baits was higher at squid for Squalus mitsukurii, saury and eel for Helicolemus avius and saury for Etmopterus lucifer.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extension of fishing hours is needed with the reduction of damage and loss for fishing gears during fishing operation.
        4,200원
        6.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주요어족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해의 위도 33˚00'N~37˚00'N, 경도 124˚00'E~126˚00'E를 대상해역으로 설정하여, 1999년 5월, 1999년 8월, 2000년 4월의 3회에 걸쳐 여수대학교 실습선 청경호와 동백호를 이용한 저층트롤조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동안 트롤에 의해 어획된 총어획 어종은 106종으로서, 1차조사(1999년 5월)에서 53종, 2차조사(1999년 8월)에서 34종, 3차조사(2000년 4월)에서 68종이 각각 어획되었다. 어획빈도는 단 한번 어획된 어종이 1차조사에서 22종, 2차조사에서 15종, 3차조사에서 19종으로 나타나, 어종 수에서는 다수의 어종이 어획되고 있지만, 대부분 1회성의 어종이 많아 어족자원의 고갈에 대한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증트롤어구의 cod-end(60 mm)에 cover-net(30.3 mm)를 부착하여 트롤조업을 실시한 경우, 까나리아, 풀미역치, 용가자미, 눈강달이는 각각 99%, 80%, 58%, 50%가 cover-net에 어획되어 음향조사 시 필요한 샘플링에는 어획선택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황해의 종 유사성은 수온의 해양특성과 아주 근사한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1999년 5월과 2000년 4월에는 유사성의 분포가 거의 같은 형태로 남북으로 나타났으며, 1999년 8월에서는 종 유사성의 분포가 동서로 분리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2. 황해의 2000년 4월의 24정점의 트롤어획조사에 의한 단위체적당의 어획밀도의 추정치는 개체수에 대하여 평균 1532.2×10-6fish/m3 이었으며, 중량에 대하여서는 39.55×10-6kg/m3이었다. 3. 1999년도 대비 2000년도의 단위체적당의 어밀도는 트롤정점별에 대한 상호비교에서 개체수 및 중량에 대하여 2000년도가 1999년도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점종 13종에 대한 비교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200원
        7.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의 어업자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도로서, 부산수산대학교와 일본 북해도대학이 공동으로 실시한 제1차 동지나해의 저서어족자원조사중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각종의 기초자료를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지나해의 24회 조사 Line에서 저층 Trawl에 의해 어획된 어종수는 총 96어종이고, 1시간 예망당 평균어획량은 58.8kg/hour이었다. 2.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약 4.5m)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3.9dB, -67.3dB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3.4dB 더 높았다. 3. 전수탐층(송수파기과 해저간)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1.9dB, -67.0dB로서 역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1.5dB 더 높았다. 4.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SV, dB)와 이 때 어획된 전위제적당의 평균어획량(kg)으로부터 추정한 kg당의 평균반사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23.6dB/kg, -26.3dB/kg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2.7dB/kg 더 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