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pursuit of competitiveness, brands are critical as they represent valuable intangible assets that contribute to creat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The emerging idea of brand competitiveness, defined as a brand’s outperformance of competing brands, represents a promising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existing branding constructs fail to incorporate competition as a relative concept. This article addresses three gaps in the current literature on brand competitiveness. It discusses conceptualizations of the construct, arguing for a customer-based perspective and introducing customer-based brand competitiveness (CBBC). It then explores the construct’s nomological network and suggests CBBC as a mediator of the strategic orientations–performance relationship, thus proposing customer-related and firm-related performance as consequences and several strategic orientations as antecedents. It finally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ment scale for brand competitiveness.
        2.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Chinese fashion market an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ashion brands in China. Fashion professionals experienced in both the Korean and Chinese fashion markets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Shanghai market and consumer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how that Shanghai is the most favorable city among Tier 1 cit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planning on entering into the Chinese market. Shanghai consumers are open to international brands and highly prefer newness in fashion. Contemporary menswear was selected as a potentially big market due to the increase of unique, young, upper-middle-class male consumers. The Korean fashion brands’ strength is that they are capable of satisfying Shanghai consumers with excellent product planning and sensory design capabilities. Their disadvantage is that their brand recognition is weaker than that of global and international brands, and their ability to localize to the Chinese market is weak. The opportunity comes is from the Korean Wave, which is a positive for Korea's products and has good geographical access. The threat is that the Shanghai market is fiercely competitive; having access to many worldwide brands, and the competitiveness of Chinese brands is on the rise. To enter the Shanghai market, creative design ability, trendy product development, skill, and appropriate PR methods such as using Korean culture contents would be required to satisfy the young, powerful consumers in Shanghai.
        4,600원
        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사례는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의 브랜드 포지셔닝 (brand positioning)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 세계 자동차시장의 추세와 함께 인도 자동차 시장의 현황과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브랜드의 개념과 역할을 바탕으로, 브랜드 포지셔닝을 (1) 구체적 특성(Features: concrete attributes), (2) 추상적 특성(Abstract attributes), (3) 직접적 (기능적) 혜택(Direct: functional benefit), (4) 간접적(경험적/상징적) 혜택(Indirect: experiential/symbolic benefits), (5) 대리적 포지셔닝(Surrogate positioning)으로 구분하여, HMI가 어떠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HMI는 주로 구체적 특성과 추상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전략은 HMI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컴팩트와 미드급 세그먼트의 특징을 감안했을 때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 만족도, 시장 점유율, 판매량 추세 등의 기업성과 지표를 감안했을 때도, 이러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은 HMI의 글로벌 경쟁력에 공헌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인도 자동차 시장의 향후 변화를 감안한 HMI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에 대한 재검토 역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900원
        4.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소비자들은 수많은 브랜드와 제품 구매에 있어서 정보 활용이 매우 빠르며, 자신의 욕구와 공감대가 형성된 개인 성향 표현이 일치되는 브랜드에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성향의 주축인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현 시대의 문화와 흐름에 맞춰 기업에서는 브랜드 패키지에 있어 기존과 다른 방식의 퍼스널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롱런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밀레니얼 세대의 니즈에 필요한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밀레니얼 세대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중 건강이나 피부미용에 관련한 제품으로 비타민 복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비타민 제품에 따른 브랜드 패키지 전략을 세우고자 한다. 이에 따라 비타민 브랜드인 레모나 제품의 브랜드 히스토리 분석을 통하여 밀레니얼 세대에 맞는 패키지 디자인 전략을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자사 브랜드 및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패키지 디자인 제안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