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불탑은 불교 전래와 함께 인도 불탑이 서북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지면서 시작되었지만 인도 불탑과는 전혀 형태를 달리 하는 목조 중층누각형의 모습이어서 그 기원이 주목된다. 중국의 불교 건축은 東漢代불교 전래와 함께 불탑 건축으로 시작되었으며 3세기 이전의 불탑은 3층 이하의 규모로 불사리를 모신 탑묘, 불상을 모신 佛殿, 불교 강연과 행사를 하는 강당, 승려들이 머물 수 있는 승방의 기능을 함께 하는 탑 중심 사찰로 건축 형태와 배치는 전통적인 祠堂과 예제 건축과 닮아 있었다. 탑의 모습도 笮融의 부도사, 四川省昇邡화상전의불탑 형상으로보아 처음부터 중국 전통 목조 건축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도 역시 초기 중국 불교의 격의적인 성격과 불탑의 祠廟적 이해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의 불탑은 전혀 새로운 모습을 띠고 출발하게 되었다. 4세기 이후 중국은 불교 전래가 본격화되고 많은 대, 소승의 경전들이 번역되면서 격의 불교적인 수준을 벗어났으며 불교가 국가에 의해 장려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佛事에도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특히 아육왕경의 번역과 유포에 따라 아육왕탑의 조성과 사리 신앙이 고조된다. 이러한 불교의 질적, 양적 확산에 힘입어 아육왕탑의 등장, 불탑의 고층화라는 새로운 변화가 시작되며 사찰도 강당, 불전, 탑, 대문 그리고 승방 등의 다양한 부속 건물을 갖춘 모습으로 정비되기 시작한다. 이 시기 사찰은 규모가 커지고 불탑은 고층화된다. 5-6세기 남북조시대는 서역을 통해 전래된 간다라 탑의 영향으로 목조누각형 다층탑으로 발전하게 된다. 작리부도로 알려진 카니슈카 대탑을 비롯한 간다라, 서역의거대한다층탑과 전통목조 중층누각탑 형식이 결합하여 고층화, 각층 탑신의 상부가 곡선형 尖拱이나 梯形으로 표현되는 감실과 불상장식, 그리스와 페르시아풍 기둥장식 등의 외래적 요소가 나타나는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이렇게 간다라 양식이 짙게 반영되었던 북위시대 목조 중층 누각형 불탑은 수, 당대를 거치면서 점차 외래적인 요소들이 사라지고 각 시대의 중국적 건축 요소가 강화되면서 중국 고유의 목조 누각식 다층탑 양식으로 완성되었다.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types according to structural system of the pagoda in ancient East-Asia and analyze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by these type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consistently the relation of the various form of the pagod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Buddhist pagodas founded in the ancient East Asia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system, which provide us with insight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of categories. The pagoda is main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onsists of two structures, an internal and an external structure. The second exposes its internal structure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has the external components changing into the internal ones. 2. Although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have an internal and an external structures, it actually solves the structural problem by adopting the masonry structure in the outside as well as in the inside. Especially in this structural consideration can be found in the stylobate and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pillar. The plan of the pagoda to the west of Mireuksaji Temple Site was intended to reveal the plane of the post-lintel layered construction which has a member, a main pillar, and the inner space in the cube with stones.
Although scholarly terminology should have clear meanings as signs, Korean pagoda terminology has become jargon and is creating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meanings which are far from the originally intended meanings; this terminology is sometimes notated in dead language, meaning old Chinese characters, or Japanese styled Chinese characters. Nobody has asked questions on the terminology itself which has long been commonly used for a century,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error is that the Indian Buddhist scriptures in Sanskrit has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with vague understanding of form and meaning of stupa since 3rd Century A.D.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language terminology, already built by Indology schol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onsists of easier language and clearer meanings. This paper examines misunderstanding and mistranslation of the original Indian stupa terms and suggests new terminology in current, easier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