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cultivar 'White and Cool' on a farm in Taean to compare the effects of conventional soil cultivation and net cultivation to increase yield and reduce labor input time during outdoor gladiolus cultivation. The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yield, and input labor time were investigated after cultivating half of the seedlings using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and the other half using the net cultivation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bove- or below-ground growth between net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However, the labor input time decreased 2.57 times, the yield of the irrigated area increased by 3%, and the self-fertilization yield increased by 28%.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net cultivation. First, loose netting should be used for root development. Second, care should be taken while flattening when planting seedlings, and after sowing, the area should be covered with a net to prevent drying. Third, after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compaction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close contact between the soil and netting, and after removing the space between the nets, the seedlings should be irrigated to induce early rooting.
        4,0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앙아시아에서 수집한 꽃피는 마늘 A. longicuspis의 주아와 주아를 도입해서 생산한 1년생 통구를 각각 노지에 재배하여 우리나라에서 주아재배를 통한 종구(통구)생산과 통구재배를 통한 마늘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평균 월동율은 주아재배에서 77.3%, 통구재배에서는 100%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래종인 단양마늘이나 의성마늘에 비하여 훨씬 높아서꽃피는 마늘의 주아와 통구를 중부지방에서 재배함에 있어서월동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주아재배에서 월동한 모든 개체가 통구 수확이 가능하였고 통구 형성율은 모든 자원이 100%이었다. 통구재배에서 추대율이 100%이었으며, 재래종 대비 화경장이 길고 주아 수가 많았다. 구크기는 대부분이 재래종에 비하여 작았지만 K248215 자원은구중이 40 g으로서 단양마늘과 비슷하였으며 구당 쪽수는 재래종에 비하여 대부분의 자원이 많았고 화기에 꽃과 주아가동시에 존재하였으며 주아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자가 맺히지 않았다.
        4,0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 잡종 ‘Charm’의 자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의 크기, 식재 간격, 깊이 및 시기를 조사하였다. 자구의크기가 2cm에서 8cm를 식재한 후 수확한 구는 8cm에서구의 둘레가 16cm 이상이었고, 개화 구근(구 둘레 15cm이상)의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다. 구의 둘레가 6cm인 자구를 간격 7.5×7.5cm 이상으로 식재하였을 때, 구근의 둘레가 14.7~15.2cm이고, 무게는 28.2~30.8g이었으며, MFB(marketable flowering bulb) 비율은 48.0~49.8%로 유의 차이가 없었으나 구근의 생산 수량을 감안하면7.5×7.5cm가 가장 이상적이다. 소구의 식재 깊이는 맹아율과 분구율, 구의 둘레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깊이3~5cm의 식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한 소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소구는 맹아율 17.8%이었으나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재한 것은 90.5%이었다. 노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은 0%, 비닐 피복은 13.4%, 짚 피복은 29.6%로 나타났다. 소구의 크기가 4cm를 10월 10일, 10월 27일과11월 10일에 무가온 온실에 식재하였을 때 맹아율은 모두 90% 이상이었으나,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커서10월 10일 식재인 경우 구 둘레가 13cm가 되었다. 따라서분화용 나팔나리는 구 둘레가 8cm 정도인 자구를 10월 초에 간격 7.5×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에 굴취하면 충분히 구 비대가 되어 개화용 구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4,0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나리 인편자구 포장정식 시 재배시설에 따른 바이 러스 감염률 등을 조사하여 포장 구근생산체계를 확립하고자 하 였다. 맹아률은 비가림하우스 및 망실하우스에서 높았으며, 품종 별로는 ‘Yelloween’이 ‘Star Gazer’보다 높았고 ‘Yelloween’ 의 망실하우스에서 맹아률은 90.3%였다. 총생체중 및 구근특성 도 ‘Yelloween’이 ‘Star Gazer’보다 높았으며 ‘Yelloween’ 노 지 정식구에서 총생체중은 15.8g이었으며 구중은 10.7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진딧물 비래의 최성기는 5월이었고 노지 38마리 에 비해 비가림 및 망실에서 8마리, 2마리로 월등히 낮았으며, 바이러스 이병률은 CMV가 LSV보다 높았으며 노지에서 CMV 이병률은 17.8%로 비가림 및 망실보다 4배 이상 높았다. Pyrethroid처리는 250mg • L-1이상에서 바이러스 방제효과가 있 었다.
        3,000원
        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리는빠르게 발전하고있는화훼작물이다. 구근화 훼류 및 화훼작물로 네덜란드뿐 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전세계의 육종분야에서도관심 의대상이 되는 작물이다. 네덜란드는나리육종과구근 생산에관한한매우중요한나라이다. 화란에서나리산 업을 세계화하기 위한 여러가지 측면, 즉, 1) 구근생산, 2) 절화생산, 3) 육종활동및 4) 식물육종가권리를중심 으로알아보고자한다.
        4,200원
        10.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mum cultivation period was determined for producing seed bulb of Korean native Allium wakegi Araki in vitro in hydroponic culture. The growth gradually increased during cultivation period. In general, plants grown for 5 months produced significantly the highest bulb number and bulb fresh weight per plant. Raising the cultivation period from 1 to 5 months remarkably increased seed bulb yield.
        11.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