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자색미의 C3C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하는데,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의 예측값과 HPLC 측정값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1. FT-NIR을 이용한 C3G 함량 분석에서 사용된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현미 상태 측정하여 HPLC 분석방법에 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2. 흑진주벼와 수원425호를 교배한 F10 385 계통을 사용하여 얻은 FT-NIR 검량식은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였다(R2=0.943 , SEE=0.116). 이 검량식을 검증한 결과도 매우 높은 정상관을 보이고 실험오차도 매우 적어(R2=0.928 , SEP=0.122) 측정정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3. 본 연구의 결과, FT-NIR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흑자색미의 C3G함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C3G함량이 높은 벼를 개발하는데 많은 양의 시료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2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2O2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ug/ml 의 농도 처리시 37~% 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ug/ml 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ul 농도보다 100ul 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2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yanidin 3-glucoside (C3G) content contained in the grains of blackish purple rice varieties, Heugjinjubyeo, Kilimheugmi, Heugnambyeo, Sanghaehy-anghyeolla, and the progenies derived from their crosses was evaluated by HPLC and UV-Vis spectroscopy. C3G content was higher in the range of 10-30% by using UV-Vis method compared to HPLC method.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as, however, observed between two analytical meth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8. Thu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t would be able to use UV-Vis spectroscopy to determine C3G content which does not demanded precise value like selection.
        2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atural pigment Cyanidin-3-glucoside (C3G) content of rice bran was analyzed with different polishing degrees in pigment layer of Heugjinjubyeo produced at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in 1999. The general composition of rice bran of Heugjinjubyeo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