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은 고용, 식량 및 생계를 목적으로 하는 카메룬 경제의 중심이다. 그러나 카메룬 농업은 낮은 생산성, 비효율성 및 수입에 의존하여 전염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카메룬 북서부 지역의 쌀 농가의 기술적 효율성을 조사했다. 구조화된 설문지와 인터뷰를 사용하여 144명의 농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했다. 기술 통계 및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의 결과는 분산 매개 변수 (시그마 제곱 및 감마)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농장 규모, 비료, 노동 및 제초제의 계수는 긍정적이고 중요했다. 평균 기술 효율성 수준이 84%로 나타낸 것은 가용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쌀 농민의 기술 효율성을 16%로 증가할 수 있다. 비효율성 모델은 신용 액세스가 기술적 비효율 성과 부정적인 관련이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농민에게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용을 제공하려는 정부의 노력 (SEMRY, UNVDA, ARFIC및 2세대 농업)과 일치한다.
        4,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메룬은 인구증가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이 시장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룬 북서부의 Mezam과 Ngo-ketunjia 지역 소비자의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특히 카메룬에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Mezam와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 라는 사례연구와 함께 살펴보았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주요 시장 지역들에 걸쳐 300명의 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 경제적 요소들, 유도된 소비자 행동이나 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품질이나 시장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오직 지역 쌀만 먹는 부류, 오직 수입된 쌀만 먹는 부류, 지역 쌀과 수입쌀을 모두 먹는 부류의 3가지 구매 형태를 나타냈다.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소로는 소비자의 소득, 교육, 직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소는 맛, 향, 질감, 도정 후 낟알 색의 흰 정도였고, 시장 속성에 관해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쌀의 출처와 구입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2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생산성과 쌀 품질에 관한 차원은 카메룬의 쌀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4,300원
        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M 분석을 통해 카메룬 코코아 수출시 GDP와 비교우위가 주요 결정요인임이 밝혀졌다. 수출시장에서의 환율변동에 따른 코코아 수출가격의 변동은 국내 코코아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인이다. 가격변동에 따라 수출되지 못하는 코코아의 국내 시장 공급은 과잉공급으로 연결되고 이는 국내시장가격의 현저한 하락을 초래한다.
        4,000원
        6.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meroon, with her numerous resources, still epends on foreign aid while the rate of poverty remains high. Thus, even though historical evidence gives impetus to the impasse over role of developmental aid, from the top down approach through to development as a springboard raising states from the doldrums of poverty,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draw a substantial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id and poverty reduction. Against this backdrop of controversy, I find it apt to put Cameroon on a balance sca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assess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aid on poverty reduction and agro-rural development in Cameroon, using the RUMPI Area Development Project 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as a case study. The study will situate and contextualize the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development within the basis of a Cameroonian perspective, using the Sachs-Easterly debate. The RUMPI Project was introduced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agriculture and empowering the rural woman; thereby fighting poverty within the South West region of Cameroon. Despite its criticism of the barriers to development created by corruption, political pressure and limited use of local and grass-root partnerships, the study, in assessing these failures also tries to outline vital ways in which the project can be improved upon.
        4,300원
        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reviews Cameroon’s – economic growth, crisis, and recovery, aiming t review the principal factors of Cameroon’s real economic growth; explore the causes of its economic crisis analyze the determinants of its economic recovery; and suggest appropriate policies to ameliorate economic growt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economic indicators, we observed that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Cameroon experienced all the possible business cycle phases: economic prosperity (until 1985), economic and social crisis (1986-1994), and renewed economic growth (after 1995). Results – As a result of the economic changes in Cameroon, its macroeconomic indicators have evolved. Poverty and inequality have chang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Throughout the examined period, rural poverty has become more widespread, deeper, and more severe than urban poverty, while inequality has experienced greater increases in urban areas relative to rural zones. Conclusions –To reap maximum benefits and reduce poverty from these economic changes, Cameroon needs to liberalize trade and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especially during the current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