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적천수 천간론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연구하여 명리이론에서 다소 소외되어 있는 간지론을 재조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천수는 그 내용과 깊이가 심오하고 싯구가 아름다워 명리학적으로, 문학적으로 가치 가 높은 古典이다. 다만 함축적 詩賦로 씌여져 상당히 추상적인데, 이로 인해 原註가 있음에도 모호한 부분들이 있어 많은 명리가들이 주석을 달았으나 여 전히 어려운 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천간론 분석을 통해 고전을 이 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적천수 천간론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음양의 차별성과 오행의 관계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오행의 생극관계를 단순한 生과 剋의 관계를 넘어서 상호 보완하며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관계로 보고 있으 며, 각 천간에서 제시되는 내용들이 타 오행에서도 호용(互用)될 수 있음을 확 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문학적 특징인 함축성과 추상성으로 인해 천간의 체 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연과학의 발달과 함 께 명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알 수 있었다.
청안은 중부지역에 적응하는 중생 고품질 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7년 하계에 SR15225-B-22-1-2-1 계통과 익산431호를 인공교배하여 SR23698의 교배번호를 부여하고 F1 수식 이미지 22 개체를 양성한 후 화분배양을 통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2개년간 생산력검정시험에서 SR23698-HB2049-110-2 계통이 농업형질 및 수량성 등이 우수하여 "수원503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05~'07년 3개년 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