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 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사회적지 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 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은 보육효능감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보육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 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보 육교사의 역할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 비스를 제공하고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ir assessment of English teaching taught by native speaker English teachers. A total of 1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strument to assess their native English teachers in terms of their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to use English, classroom management,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rate how much they were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All of the responses were submitted to the SPSS 22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es. First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how much they felt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Secondly, a MANOVA was run to investigate any group differences in how they perceive their native speaker teachers’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nguage confidence was indeed an important variable not only in subjects’ learning English but also how they perceived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s a whol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사회 적응행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의 다문화가정 유아 181명을 대상으로 또래 및 교사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관계는 성별, 출생순위, 모학력에 따라서, 교사와의 관계는 성별과 출생순위, 월평균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와 교사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와 교사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또래 관계도 잘 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아울러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원만한 사회 적응 행동을 고양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유의한 교육적 중재를 통해 긍정적인 또래 관계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