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al rate and development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re decreased by UV-B irradiation (Otsuka and Osakabe, submitted). This is considered to be a reason why this mite prefers lower leaf surfaces host plants. On the contrary,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is known to remain on upper leaf surfaces of host plants. Such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was assumed to depend on the difference in UV resistance. Hatchability of P. citri eggs was decreased by UV-B irradiation, yet their eggs were more protected from the UV-B irradiation in company with T. urticae.
Eggs of P. citri are reddish, while those of T. urticae are white. To test whether the reddish color invest UV resistance in eggs, pale white eggs of albino strain and reddish eggs of wild type of P. citri were simultaneously irradiated by UV-B. Reddish eggs of wild type showed higher resistant to the UV-B irradiation than the pale-white eggs of albino strain. For the next step, the wild type and the albino eggs of P. citri under UV opaque film (-UV) or under UV transparent film (+UV) were exposed to solar irradiation. Hatchability of albino eggs was signifycantly lower than that of wild type eggs under the + UV condition. Under UV –, both eggs showed higher hatchability than under UV+ conditions. From these results, the wild type eggs of P. citri were likely to have some mechanism protecting itself from ambient UV irradiation, and the red pigment possibly act as a shield againt solar UV radiation.
F1 female proceeded by reciprocal crosses between the wild type and the albino strain exhibited reddish body color in their adult stage, indicating that the albino was recessive. Notwithstanding, F1 eggs from the crosses between albino female and wild type male were pale white. After hatching, the F1 larvae also exhibit pale white body color, then the females turned to reddish at their first quiescent stage. F1 progeny from the crosses between wild type female and albino male were all reddish during egg to adult stage. These revealed that the color of eggs and also larvae were conferred as a maternal effect (: eggs of P. citri might be protected by the red pigments as the first gift of their mother.)
In Jeju cirtrus orchards, Panonychus citri, citrus red mite is the most important pest requiring 3 times acaricide sprays. In open field conventional orchards, P. citri usually shows three population peaks; from end of Jun to July, from end of Aug. to Sep., from end of Oct. to Nov. However, natural enemy complex and its function regulating P.citri are poorly understood.
From the survey of P.citri natural enemy in citrus orchard in Jeju from 2004 to 2006, predatory beetle, Oligota spp. was most abundant. Three predatory mite, N. californicus, Amblyseius eharai, and N. barkeri,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McGregor) (Acari: Phytoseiidae), was first found in Korea. Even though it was first found, N. califor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occupying 84% of phytoseiid mites. These predatory mites mostly occurred in Jun and peaked at July, which was accorded with the high humidity season of the year. From the survey, the density relationship with P. citri was unclear.
From the study conducted in 2005-2007, N. californicus was more abundant in greenhouse citrus (var. Shirahuhi) than in open field orchards; conventional or organic mandarine citrus. In greenhouse citrus, phytoseiid mites showed suppressing P. citri population. As a next step, the inundative biological control study was conducted using commercial strain of N. californicus, which was originated from Jeju, 2005, in greenhouse citrus. One thousand N. californicus per 1a were released 2 times at 10 day interval on citrus leaves when the initial density of P. citri was about 0.2 per leaf. The release effects were variable depending on the field condition. However, N. californicus did successfully reduce P. citri in greenhouse citrus orchards.
귤응애 성충의 표본추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01-2002년)동안 8월부터 11월까지 잎과 열매에 대해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열매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으며, Taylor's power law (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다. 잎(X)과 열매(Y)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는 ln(Y+l)=1.029 ln(X+l)(=0.80)의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열매가 성숙될수록 잎보다 열매에서 귤응애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잎과 열매의 표본조사에서 TPL이 IPR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으며,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두 표본단위간, 연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착도 0.25일 때 요방제밀도 2.0, 2.5와 3.0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표본추출조사법을 개발하였으며, 조사에 필요한 최대조사나무수(고정표본크기에서 필요 나무수)는 각각 19, 16과 15주였으며, 이 때의 의사결정임 계값 은 각각 554,609와 659였다.,609와 659였다.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제주지역의 온주밀감 과수원에서 귤응애(Panonychus citri (McGregor)) 밀도에 대해 잎당 응애수를 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항표본조사법은 잎당 귤응애의 밀도와(m)와 귤응애가 T마리보다 많이 존재하는 잎의 비율()과의 관례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 []에서의 tally threshold로서 본 연구에서는 1, 3, 5, 7을 사용하였다. 표본단위 수의 증가는 T와 관계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이 거의 없었던 반면에 T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표본수를 증가시켜도 정확도가 낮아졌다.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는 T=1일 때 가장 높았으며,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표본조사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독립된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밀도추정에는 T=1인 경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귤응애 밀도를 분류하기 위한 이항표본조사과정을 개발하여 action threshold가 귤응애 밀도가 잎당 2마리일 때의 이항표본조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귤응애의 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분산형태에 대해 2개년(1999~2000년)에 걸쳐 잎 표본에 대하여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으며, 잎 표본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다. Taylor's power law의 기울기와 절편은 조사한 포장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상수값을 이용하여 잎 표본 조사에 의한 귤응애 약 .성충에 대한 고정정확도수준에서의 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법에 대해 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4개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 고정정확도(D)값이 요구되는 D값보다 항상 낮았으며, 나무당 귤응애 밀도가 8마리 이상에서 필요한 조사 나무수는 18주보다 작았다.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천적의 종류 및 주요 포식성 천적의 시기별 발생량을 '96년부터 '98년까지 3년동안 전남 고흥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귤응애의 천적으로는 Oligota kashimirica benifica, 깨알반날개(O. yasumatsui), 꼬마무당벌래(Stethorus punctillum), 칠성풀잠자리붙이 (Chrysopa pallens),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응애총채벌레(Scolothrips takahashi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그리고 관총채벌레류 1종으로 총 5목 7과 9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우점천적은 깨알반날개류와 꼬마 무당벌레였다. 유자과원에서 깨알반날개류는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며 년 4~5세대를 경과하였고, 4세대인 9월 상순에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꼬마무당별레는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년 3세대 경과하였고 6월 하순~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먹이인 귤응애와 포식자인 천적의 시기별 밀도변동을 볼 때 9월까지는 귤응애의 발생상황에 따라서 포식자의 발생밀도도 증감하는 시기적 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10월 이후 귤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포식자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