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ross-generational effects of bisphenol A exposure in benthic copepods, Tigriopus west. Nauplii (<24 hours old) were exposed to graded concentrations of bisphenol A, and toxicity end-points such as survival, development, sex ratio, and fecundity were measured. F1 generations were grown under innoxious conditions, and similarly asses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evelopment of nauplii and copepodites, between exposed and non-exposed copepod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rvival of nauplii or copepodites, sex ratio, or brooding rate in parental generation. In contrast, in the F1 gene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osed group in survival and development of nauplii. Length, width, and biomass of parental and F1 generations were reduced in the expos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some deformities, such as swelling of the prosome, abnormally shaped egg sac, and dwarfism were observed after exposure to bisphenol A. So, our study demonstrates that a cross-generation toxicity test and monitoring of morphological deformities in harpacticoid copepods, can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potential bioindicato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chemical impact.
본 연구는 유류오염에 의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먹이섭식능력의 감소가 먹이회피에 의한 것인지 오염된 해수의 독성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류(WAF 또는 CEWAF)에 오염된 먹이에 대한 T. japonicus의 먹이 섭식력을 조사하였다. WAF가 없는 배양수 조건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섭식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WAF가 배양수에 있는 조건에서는 WAF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섭식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WAF 100% 농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 T. japonicus가 CEWAF에 오염된 환경에서 먹이의 종류에 따른 먹이선택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오염된 먹이를 공급했을 때, 배양수에 CEWAF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먹이 로 Tetraselmis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부착규조류 섭 식률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유류오염에 의한 T. japonicus의 먹이 섭식력의 감소는 오염된 먹 이회피에 의한 섭식력의 감소가 아니라 해수에 존재하는 유류독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해양에서 1차 소비자 단계인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탈인슬래그와 제강슬래그 추출액의 생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슬래그 추출액에 대한 스크린 테스트 결과, 추출액의 pH는 높은 알칼리성(pH 8.89-12.16)이었으며, 숙성 전과 후 추출액에 대한 독성 반응은 실험생물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숙성 전 슬래그의 경우, pH 비제어 시료에 대한 B. plicatilis 신생개체의 반수치사농도는 제강슬래그(63.8 %)가 탈인슬래그(20.8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 japonicus 유생의 반수치사농도는 탈인슬래그와 제강슬래그에서 각각 35.3 %와 36.0 %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pH를 제어한 경우, 숙성 전과 후 추출한 시료에 대한 T. japonicus 유생의 독성은 B. plicatilis 신생개체와는 다르게 노출물질 특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결론적으로 숙성 후 슬래그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pH 비제어 환경조건 하에서도 반복 추출을 통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슬래그와 같이 기계적으로 활성화 된 시료의 해양생태독성평가방법은 강우나 풍화로 인한 유해물질의 해양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opepod nauplii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linker between the microbial food web and classical food chain in marine ecosystem and is an essential food source for early stage of many larval fishes.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growth of copepo
이 연구는 성전강 하구역의 계절별 동풍플랑크톤 분포 특성과 주요 요각류 우점종의 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를 고려한 10개 정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총 31개 분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계절별 평균 출현 개체수는 4,151 ind.·m-3이다. 평수기 조사수역의 동물플랑크톤은 연안성 동물플랑크톤이 주로 출현하였으나, 풍수기에는 기수성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이 하구역 중 상류에서 집중되었다. 현장실험을 통해 얻어진 Acartia spp.와 Paracalanus parvus s.l.의 성장률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 요각류를 대상으로 계산된 섬진강 하구역의 연간 요각류 생산력은 3.49 g C·m-2·yr-1로 비교적 높은 생산력을 보였으며, 이처럼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생산력이 높은 것은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염분 범위에 따른 연안종과 기수종의 다량 출현 때문으로 판단된다.
We conducted a year-long survey in 2000 to examine seasonal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of the demersal copepod Pseudodiaptomus sp., the dominant copepo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here the spring tide strongly affects changes in salinity gradients.
Nineteen rockfishes representing two species in the family Scorpaenidae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in July 2003 and examined for parasitic copepods. The parasitic copepods were taken from the gills of Sebastes crameri and fins of S. melanop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level of parasitic Copepod, Clavella adunca on the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at the Hatfield Marine Science Center Aquarium were studied. C. adunca was usually found on the base of fins, preferably on the pectoral fins
조류는 동물플랑크톤 분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황해처럼 조류가 빠른 곳에서 동물플랑크톤 분포를 조사하는 경우에도 조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황해에서 조류의 영향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자료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시간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가운데 우점하는 Acartia, Calanopia, Calanus, Centropages, Corycaeus, Lab
Chronic effects such as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with elevated CO2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using two representative marine benthic species, copepod (Tisbe sp.) and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adopting long-term exposure. Juvenile copepod and amphipod individuals were cultivated in the seawater equilibrated with control air (0.395 mmol CO2/air mol) and high CO2 air having 0.998, to 3.03, 10.3, and 30.1 mmol CO2/air mol during 20 and 46 days, respectively. After the exposure period, the number of benthic invertebrate was counted with separate larval and juvenile stage such as naupliar, copepodid and adult for copepod, or neonate and adult for amphipod, respectively. The individual number of both test species at each life-s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awater with 10.3 mmol CO2/air mol or higher. Recently, the technology of marine CO2 sequestra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 which may cause climate change. However, under various scenarios of CO2 leak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r sequestrated CO2 in marine geological structure, the potential risk to organism including various invertebrates can be expected to exposure.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tailed consideration on the adverse effect with marine ecosystem can be prerequisite for the marine CO2 sequestration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