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changes appeared with the Chinese degree adverbs as languages evolve over time, such as th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 and the phrase structures like ‘巨多’, ‘巨好’, ‘巨痛’ are used in our daily communication commonly.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Chinese emerging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in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rst, we focused on the prototype meaning of ‘ju(巨)’ which is a adjective and the existing meaning of ‘ju(巨)’ which is used as a degree adverb. Second, we compared the image schema of the adjective ‘ju(巨)’ with the image schema of the degree adverb ‘ju(巨)’ and manag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studied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degree adverb ‘ju(巨)’s meaning that is metaphor and made ‘ju(巨)’s metaphor mapping model. Third, we chose ‘巨多’, ‘巨好’ and ‘巨痛’ as examples by corpus-based study and used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to compared the conceptual blending spaces of them. Lastly, we found a general rule that can have reference significance to the study about the evolution of the other emerging degree adverbs, such as ‘狂’, ‘神’and so on. 저 자
        5,8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运用语料库方法对‘程度副词+V得/不C’结构的使用情况进行了调查,检索结果发现在1223个动词当中,可适用于该结构的动词有199个。经分析表明‘V得/不C’能否受到程度副词修饰、能否带宾语都与可能补语结构的词汇化程度、结构形式、充当补语的词类无关,而是由可能补语结构本身具有的可能意义表达出来的状态、性质特征所决定的。因此,本文将这些能受到程度副词修饰的可能补语结构看成一个语块(chunk)。并且把‘程度副词+V得/不C+O’中的‘O(宾语)’视为表示状态、性质的一部分,也将其包括在语块范围在内,因此该结构应该分析为‘程度副词+(V得/不C+O)’结构。
        4,800원
        3.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상 대화 말뭉치를 통해 <너무/되게/엄청 + 형용 사>의 의미적 선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너무+형 용사>에서는 [경험-심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되게+형용사> 에서는 [경험-논리], <엄청+형용사>에서는 [사물-측량]이 높은 선호도 를 보였다. 한편, 세 정도부사에서 사물에 대한 추상적 묘사를 의미하 는 [사물-추상]의 의미 선호는 1건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의미 유형에서 <너무+형용사>의 의미 선호가 가장 많았으나 [사물- 형태]에서는 <되게+형용사>의 의미 선호가 많았다. 향후 정도부사의 피수식어로 동사나 ‘명사+이다’ 등의 의미적 선호 양상 분석이 이루어 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