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씨릴 터너의 무신론자의 비극에서 주인공인 무신론적 자연주의자 담빌과 기독교의 섭리를 확고히 믿는 샤를몽과 카스타벨라를 대조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유물론과 전통적 기독교 관점의 도식적인 대결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한 분석에서, 본 연구는 터너가 구원과 섭리의 주제를 종교개혁 전후 당대의 종교적 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무신론자의 비극은 종교개혁 이후 르네상스 연극의 특징을 담고 있으나, 선과 악, 심판과 형벌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중세 도덕극에 주로 등장하는 기독교적 심판을 제시하고 있다. 무신론자의 비극은 또한 종교윤리와 신의 섭리라는 개념을 다루며, 무신론자 담빌을 통해 인간의 책임을 강조한다. 르네상스 연극이 중세 기독교 교리를 인문주의 전통 속에서 해석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섭리적 담론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후기 르네상스 작품에서 강조하는 종교적 도덕성과 비교하여 무신론자 담빌의 파멸을 통해 종교개혁 이후 신의 법과 영적 부패에 대한 기독교의 심판을 당대의 시대적, 종교적 담론 안에서 어떻게 반영하는지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자연주의적 결정론적 특징이 오거스트 스트린드베리의 『미스 줄리』와 버나드 쇼의 『상심의 집』의 중심 인물들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비교, 고찰한다. 사회적 환경에서의 심리적 갈등의 결과로 자연주의적 결정론을 강조하는 스트린드베리의 희곡은 비극적 파멸을 통한 개인의 고통과 욕망의 결과를 보여준다. 스트린드베리는 『미스 줄리』에서 생존을 위한 남녀의 무자비한 성적 투쟁을 중심으로 인간 본성의 도덕적 타락과 죄를 묘사한다. 반면, 쇼의 『상심의 집』은 주인공 개인의 욕망이나 환상에 의한 파괴보다는 사회다윈주의적 관점에서 희망적인 절망을 역설적으로 강조한다. 쇼는 『상심의 집』을 통해 인류를 절망에 빠뜨린 환상이 야기한 전쟁에서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과 결과에 대한 자연주의적 시각을 보여준다. 스트린드베리와 쇼의 극에 등장하는 여주인공들의 교차된 욕망과 사랑은 결정론적 운명이라는 종교적, 사회적 딜레마를 상징한다.
시는 삶에서 나오는데, 시인의 삶, 정서와 감정의 표현, 상상력의 발전 을 충실히 반영한다. 이 논문은 예이츠와 아우로빈도 고시에 나타난 속세와 영혼의 시 적 패러다임을 비교 분석한다. 예이츠는 자신이 경험한 것을 충실히 표현하고, 마음의 중심에서 고통을 겪는다. 그는 또한 삶의 경험과 사랑의 철학을 형성하고, 개인의 지 혜와 사상을 옹호하며 그의 시적 경력의 발전에 대해 사유한다. 이처럼 예이츠의 시는 주관적인 감정, 충동, 신비로운 경험에 기초한 생각과 철학을 드러낸다. 한편 현자 이 자 금욕적이고 신비로운 시인인 아우로빈도 고시는 자신의 초기 생애를 드러내고 후 기의 신비적이고 신비로운 비전을 반영한다. 그의 시는 요가 사다나(Yogic Sadhana) 또는 명상에 의해 심화된 이 영적, 신비로운 비전을 표현한다. 두 시인은 각자의 시에 서 시적 패턴에 대한 중요한 업적을 이루었지만 그 방식에서는 차이점을 보인다. 예이 츠의 시가 비교, 신비주의, 환상 및 황홀경을 중심으로 자전적 주제를 드러냈다면, 아 우로빈도 고시의 시는 정신계에서 은유적이고 형이상학적 경험을 주로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