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media contents accelerated, auditory-based contents, especially ASMR, has been taking center stage in its field than visual-based contents. They are meaningful in a way that they are alternative contents that suggest a new space and possibility through aural stimulation, getting out from the boundary of excessive visual stimulation of existing media. According to Jang, Park, & Lyou (2016), ASMR is originally the abbreviation of a medical term,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However in 2010, Jennifer Allen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the definition that ‘ASMR is a specific sound that gives pleasure', and recently it is used as a coined word among young people rather than medical terminology (Jang, Park,& Lyou, 2016). Consumers listen to ASMR for stress relief, psychological stabilization, and relaxation through repeated, constant sound triggers (Zhang, 2015). The triggers used in ASMR marketing draw a stronger commitment within the consumers, by accompanying visual stimuli consistent with auditory stimuli (Sim, 2014). As reported by Hong (2017), commitment is a state of sensorial arousal when a person is totally lost in something and among all affective commitment relieves stress and enhances enjoyment; therefore raises quality of life and helps to live a rich life (Hong, 2017). This show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enjoyment about experiences of ASMR content that leads to commitment, and such phenomenon creates a state of immersion that collapses the distinction between consumers’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out the process, consumers meet the chance to recall the familiar sound that they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and therefore remind of nostalgia on it (Zhang, 2015). Belk (1990), within the view of marketing, referred to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nostalgia as a kind of longing atmosphere promoted by sensory stimuli such as scene, smell, and music. Zhang (2015) says that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cause nostalgia is sound, and one calls of the past through a specific sound which is an external stimulus – ASMR is included in it. Consumers can acquire prior knowledge of the brand while enjoying ASMR contents, and they can even have indirect experiences without having direct experiences of actually purchasing or wearing products. This helps to inspire the expertise of the product, and also plays a role in shaping positive consumption emotion such as pleasure and sensibility (Yang, 2016). Fashion products, especially, are more sensible than general consumer goods and due to excessive diversity of products, rational and deliberate purchasing rarely happen. Thus, consumers can build positive brand equity through ASMR marketing by learn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products that could not be obtained from other marketing.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new compound word ‘ASMR marketing,’ which combines marketing with the definition of ASMR of the coined term. Electronic word of mouth(EWOM) by ASMR marketing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sumers communicate about product information and usage in the online communit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seller.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word of mouth and ASMR, it is easy to infiltrate into daily life of the consumers and easily imprint the individuality of the brand to them (Wang, 2015). Although ASMR appears in ads of HeatTech and AIRism of UNIQLO, a fashion brand, ASMR triggers are not used as a background music and narration. In fashion industry, the use of sound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fashion products, or the sounds that occur when wearing them, highlights professionalism and stimulates nostalgia by attracting consumers' emo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when ASMR marketing is applied to a luxury brand rather than SPA brand, expertise can be emphasized more effectively. ASMR has been spreading like a fashion in recent years, and marketing of ASMR in fashion brands has not yet been researched active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ze significant meaning and value of ASMR in auditory sense field in modern days; seco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SMR marketing through emotional commitment and nostalgia; thir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MR marketing on consumers. Although ASMR, therefore, is used only as a mitigation tool in medical field, this study combines media and marketing with ASMR, suggests it as a tool to enhance the profitability and brand equity of fashion brand. This study would help shape the trend of new culture by collaborating ASMR marketing with fashion brand. Furthermore, a cornerstone of related research can be established by presenting a causal relationship that emotional commitment affects nostalgia and brand equity.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fashion companies diverse ways to establish ASMR marketing strategy.
기업 디자인과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중의 하나는 인간의 감성이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의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증적으로 화장품이나 패션의류 같은 산업을 제외한, 생활용품이나 주방용품 산업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소구하는 감성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전개가 활발하다고는 보기 어렵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기업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마케팅과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간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을 전략적인 도구로 사용한 감성 마케팅 사례를 연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감성디자인과 감성마케팅의 적용사례에 대한 실증적 연구 발표가 적은 주방 용품 산업에서의 실증적인 사례로써 감성 디자인을 통한 감성 마케팅을 적용한 마블코팅 프라이팬 제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성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을 적용한 실증적 사례가 시장에서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 제품의 매출변화와 시장 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큰 틀(framework of the research methodology)의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한 감성디자인과 감성마케팅의 정의를 알아보았다. 둘째, 연구자의 5년 동안의 프라이팬 기업의 현장 경험과 인터뷰결과(Empirical research method)에 의한 연구 가설과 연구문제들을 설정하고, 셋째, 기업의 실증적 자료, 기업의 임원 및 매니저와의 인터뷰(Interview), 그리고 제품 사용자의 설문조사(Questionnaire)를 통해 본 연구 목적인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연구문제들'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넷째, 연구결과에 대한 보안을 하고자 추가적으로 기업에 대한 광고 등의 판촉활동에 대한 관계와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궁극적인 본 연구 목적은 감성디자인을 통한 전략적 감성 마케팅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가치를 재평가하여, 소비자 입장에서의 감성 마케팅과 디자인의 문제점을 소개하고, 앞으로 감성 디자인과 감성 마케팅의 전략적 차원에서 도입하려는 기업인이나 연구자에게 선행적 사례로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감성마케팅 관점에서 호텔 브랜드 개성과 호텔 화예디자인으로써 대표적 사례인 로비 공간 크리스마스 장식 개성의 일치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그 일치성이 크리스마스 장식의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호텔 기업은 다른 화예디자인에 비하여 전통적 성향이 강한 크리스마스 장식까지 브랜드 개성을 반영하는 움직임을 시도하고 있고, 호텔 이용자들 또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선호도에 반영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호텔 브랜드 개성과 화예디자인의 개성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설문문항이 과도하게 많아짐으로써 답변의 성실도와 집중도가 떨어졌으며, 호텔 브랜드 개성을 형성하는 화예디자인으로 크리스마스 장식에 한정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후에는 대상을 축소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크리스마스 장식 뿐 아니라 좀 더 다양한 화예디자인을 대상으로 확장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