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파워먼트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 많은 기업의 관리자들이 구조적 임파워먼 트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바라보고 실제 자신들의 기업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구조적 관점에서 의사결정 의 권한을 하위 부서로 이양하는 것이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혁신적인 결과물을 탐색하는 데 매우 효과적 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조직이 처한 환경 속에서 이러한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실제로 효과적일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조차 조직이 처한 다양한 상황적 요인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NK 모델을 통해 조직의 과업 상호의존 성과 부서의 업무역량에 따라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조직의 창의적 성과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서 간 과업의 상호의존 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는 부서의 업무역량에 관계없이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조직 차원의 의사결정에 대한 개입이 있을 시 성과가 개선되었다. 또한, 부서의 업무역량이 높을수록 일정 수준 이상의 조직의 개입(조직 수준의 의사결정)이 발생했을 때, 다시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업의 상호의존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부서의 업무역량이 높을수록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대한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 적 임파워먼트가 낮아질수록 부서의 업무역량에 관계없이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도 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반드시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 처한 상황적 요인을 확인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구조적 임파워먼트 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의 의사결정 개입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2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in industrial sites is becoming global. In Korea, too, the proportion of foreign members in all industrial fields and production sites is increasing. This is the reason why an approach that reflects this reality is needed in the basic unit of competitive sources. Competitiveness starts with value creation, and this progresses through field innov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South Korea members showed active actions and attitudes in developing, promoting, and realizing ideas when they strongly recognized the real meaning of empowerment given by lead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foreign members do not know the meaning of empowerment itself, so they are often unable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development, promotion, and realization of ideas. In fact, it was analyzed that foreign members generally did not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with LMX and were exposed to simple tasks and controls. In other words, they ar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in terms of communication problems,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exacerbated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ituational response to foreign workers through improvement of LMX and empowerment should be evaluated as a key management task in a situation wher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job unit innovation are urgently needed.
        4,6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훈련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 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유아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훈 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과 훈련체계 구성이 포함된다. 둘째, 개발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테스트 결과의 분석,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용 훈련 효과의 분석 이 포함된다. 연구 결과, 황금원 모델에 따른 구인별 음원 24개, 스탬프로 제작된 습관별 코칭 놀이감 8개, 구인별 음원과 코칭 놀이감을 활용한 코칭 스크립트 24개, 모듈별 코칭 동영상 3개, 8시간의 교사 훈련 체계를 포함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 테스 트,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 용 훈련 효과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 교사에게 유의미 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6,700원
        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the evaluation model that centered on the cases as to the study on Empowerment Evaluation for participants developing capacity and continuously improving the evaluation itself when conducting the evaluation for PBL activities. As increasing of the importance to the evaluation in the aspect of securing justification of education and managing the quality, the evaluation model is required to be continuously reviewing for satisfying the participant’ various viewpoints, and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s they have set.
        6,000원
        5.
        202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munity empowerment model to develop sustainable tourism villages in Indonesia. This study applies a qualitative method. Data collection i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held in Ponggok Village of Central Java Province - Indone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tourism development carried out in the Ponggok Village used four approaches (1) spatial approach as a basis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village development; (2) sectoral approach through increasing the role of the Village Owned Enterprises to build the village economy; (3) human resources to enhance the role of village communities in managing village potentials; and (4)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rove service quality,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The success of these four approaches is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innovation, collaboration, and good village governance. The success of the Ponggok village to become an independent village in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is inseparable from the success of the Ponggok village government in empowering the community to manag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he success of development with these four approaches is influenced by leadership, innovation, collaboration, and good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