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출산에 관한 의사결정은 미시・거시차원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 용하여 단순하지 않다. 낮은 합계출산율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오랫동 안 경주되고 있으나 젊은층의 출산패러다임의 변화에 기반을 둔 가치관, 성 평등변수를 반영한 합계출산율 영향요인을 분석한 국내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치관, 경제적, 성평등 요인으 로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명변수에서 자녀가치관, 남성의 육아 참여도, 성별가사분담률 등의 개선과 추가는 선행연구와 차별되는 점이다. 16개 광역시도의 2005-2022년 데이터를 패널화하여 Pool OLS, 고정효과 및 확률효과모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자녀가치관은 서구적인 가치관이 아닌 결혼에 기반을 둔 자녀출산이라는 관점이 1% 유의수준에서 합계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행연구 와 달리 사교육비의 영향이 출산율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았으며, 0.1% 유의수준에서 아파트매매가격지수가 높을수록 합계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미 쳤다. 셋째, 소득이 보장되지 않는 남성육아휴직은 합계출산율 감소와 연결 되며, 여성고용률과 합계출산율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아 선진국 모형과 다 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6,300원
        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ce of fertility-associated antigen (FAA) in semen would influence semen characteristics and conception rate of artificial insemination in Hanwoo. The response to FAA of 36 heads of proven bull, 7 heads of young bull, and 27 heads of performance-tested bull was that one proven bull was FAA-negative and the others were FAA-positive, therefore FAA-negative bull was 1.4%. FAA-negative bull was lower in first and second semen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FAA-positive bull in 5,301 semen of 21 heads of proven bull, then FAA-negative bull was fewer as 11.5% in total sperm counts. The estrus of 22 heads was 70d-nonreturned in 36 cows first inseminated with frozen semen of FAA-negative bull, but that of 249 heads in 378 cows first inseminated with frozen semen of FAA-positive bull. Each conception rate was 61.1% and 65.9%,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conception rates was 4.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onse of FAA to semen were influenced semen characteristics and conception rate of artificial insemination, bu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confirm the results.
        3,000원
        4.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women’s fertility rate is rapidly declining as it goes down from 4.5 in 1970 to 1.3 in 2002. The impacts of the low fertility rate are many, e.g., the decline of Korean population, the lack of industrial man powers, the numerical rise of foreign workers, the growth of older generation, and so on. Soon Korean church will be under direct impacts of the low fertility rate as well. The present paper aims to investigate (1) the growth rate of Korean Christian pop띠 ation based on the scientific national census; (2) the rapid decline of the Korean women’s fertility rate; (3) the influence of the 1997 IMF econornic crisis upon the decline of fertility rate; (4)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ministry from missiological analysis which include counseling, silver rninistry, rninistry to corning generation, rninistry to foreign workers, and encouragement for childbe뻐ng for the Christian farnilies. What Korean churches need now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nissionary proclaim in the Book of Genesis (9: 1):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replenish the earth." Otherwise, Korean church would have a significant difficulty to maintain the present energy and enthusiasm due to the sharp decline of the Christian pop비ation in Korea near soon.
        6,300원
        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animal manure on efficiency of the nitrogen utilization of silage corn (Zea mays L.) and soil fertil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field plot at Gongiam, Kwangju, Kyunggi-Do for 3 years, from
        4,000원
        6.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6배체 보통밀 5개 품종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교잡친화성, 발아율, 및 화분의 활력등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신기호밀(TC)과 밀의 교배에서 교잡율은 조합에 따라 28.8~41.8%로, 평균 34.1%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역교배에서는(밀X신기호밀) 교잡율이 극히 낮았다. F1 에 신기호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1 /P1 )했을 때는 평균 3.99%, 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1 ,P2 ) 했을 때는 평균 21.9%의 교잡율을 보였고, F1 을 자식시킨 에서는 평균 3.61%의 임실율을 보였다. 2. 트리티케일과 밀의 F1 에 양친을 여교접할 때 F1 /밀이 /F1 보다. 트리리케일/F1 이 F1 /트리티케일보다 교잡율이 높았다. 3. 모든 단교배 F1 종자의 발아율은 80% 이상이었으며 트리티케일/밀에서 F1 /P2 세대는 평균81%, F1 /P1 은 62%, F2 는 66.3%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4. 트리티케일 품종 신기호밀을 화분친으로 사용하여 밀과 교배할 경우 배란형성이 안되었으며, 이때의 배란게놈 조성은 AAABBBDDR 이었다. 5. 트리티케일과 밀을 교잡한 F1 의 화분 임성은 평균 30.2%로 나타났다. 6. 트리티케일과 밀의 F1 의 화분 임성과 교잡율(F1 , F2 , F1 /P2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