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생산인구 감소의 진행이 높아짐에 따 라 정부는 외국인력을 활용하여 부족한 노동력을 대체하고자 외국인의 지속적 정착을 위한 정책 등을 제시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D-2)의 수 학 후 국내에서 지속적인 체류와 함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대안 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구감소지역 범위 확대이다. 지역특화형비자 (F-2-r)의 이동 형태로 이동으로 도심의 ‘구’ 단위의 인구감소 지역으로 외국인 유학생(D-2)의 지역 체류 범위를 확대를 제안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 배우자(F-3)의 체류자격 외 활동 범위 확대이다. 단순노무(D-3, E-9)를 제외한 모든 직종에서의 활동으로 경제력 확보를 위한 경제활동 의 체류 범위 확대로 경제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생활의 경제적 어려 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가족 초청 제도 확대이다. 외국인 유학생(D-2)의 부모의 계절제 근로의 허용 과 함께 2촌 이내의 가족 구성원이 입국을 허용하여 가족구성원이 함께 생활하고 불법 체류를 막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바탕으 로 외국인유학생(D-2)이 가족동반 체류를 통해 경제력 어려움을 해결하 고 지역사회 안에서 안정적인 정착이 이루어질 것이다.
This thesis is a historical research about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as the fourth among the Open Ports which express the historical characters of Korean Modern, as a city which did not exist before the Korean Modern. So I analyzed positively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he process of urban form during the period which contained the characters of Concession, from 1897 to 1910. Even though the urban basic form of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was planned by Korean Goverment, it's townscape was changed to Japanese style by Japanese since Mokpo port was opened. Because it had settled by Japanese residents which had majority. But I found that the urban form was not composed by the Modern urban planning theory or method, but by the existing conditions such as topography and roads. The center in the settlement had shifted from the front region of Japan Consulate to the East region which was in the vicinty of Korean village. And also former internal oriented urban form had changed to the relevant composition with Korean village. All the changes in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was made by the Japanese which had majority, and it is a good example which expresses Korean Moder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