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ism in architecture is a very complex and contradictory phenomena. So much so that it has been defin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history, depending on one's position 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It is thus necessary to map out the various concepts of modernism and their relationships in order to ha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various positions as functionalism, formalism and artistic avant-gardism, and to trace their history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modernism from functionalism to artistic avant-gardism seems a logical process in the history of western modem culture.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be more abstract and self referential artistic practice reflects the fragmentation of modern culture and the separation of art and technology. The validity of this position, of course, depends on how one evaluates the role of modern art in the situation of modern culture. It could be viewed either negatively or positively. However, this position is problematic in that it disregard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architecture and other arts and distanced architecture farther from its material base. Given this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modernism, modernism in Korea should not viewed simply identical to the western modernism, nor should western modernism be imported uncri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her modernization and their differences from the west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different status and role of architecture in korean modern society.
        4,000원
        2.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혁명 이후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예술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이에 기능주의 디자인이 발전하게 되었다. 미술공예 운동과 같은 저항도 존재했으나 기술과의 조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기능주의는 대량생산에 적합한 합리적 기능주의로 생각하는 견해가 많으나 기능주의는 문화적 관점에서도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 두 가지 관점에서의 비교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 중심의 기능주의와 문화 중심의 기능주의에 관하여 역사적 흐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고 두 관점으로 파생된 오늘날 제품들의 디자인에 담긴 함축적 의미에 관하여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현 시대에 있어서 제품 디자인의 방향성을 사고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경제 중심 기능주의와 문화 중심 기능주의는 모두 인본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직관적이고 합리적인 경제 중심 기능주의 디자인에 비해 문화 중심 기능주의 디자인은 감성적이고 은유적이며 모호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대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온 셰커 교도들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지키며 정직하고 검소한 생활을 유지하였는데, 생활 에 필요한 제품들을 직접 제작해서 사용했다. 순수한 기능만을 추구하며 장식이 없는 기능을 위주로 제품을 생산 사용하였 다. 종교적인 내용을 제외하자면 합목적성에 초점을 맞춘 기능주의를 추구했다 할 수 있다. 기능주의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기능을 중심으로 생산과정과 사용편리성에 중심을 맞추어 디자인, 설계, 생산이 이루어진다.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발전을 거듭한 기능주의는 상업성과 합리주의를 표방하며 발전했으나, 그 바탕에는 인간을 생각하는 휴머니즘 과 공리주의가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사용자의 편리함과 정신적 만족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생산자의 노동환경 역시 고 려되었다. 이러한 사상들의 바탕은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러시아 아방가르드, 데스틸, 독일공작연맹, 바우하우스, 브라운사 로 이어져 시대가 흐름에 따라 발전을 거듭하였다. 정치적, 경제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능주의가 사용된 의도, 목적, 시 도했던 각각의 요소들을 그들만의 방법으로 발전시키며 제품 본연의 합목적성에 맞도록 발전되었다. 또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자의 기능주의 형식으로 발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