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게임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배경에서 게임 이용자들은 다양한 게임 장르를 경험하고 있으며, 또한 게임 내의 승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게임 이용자 들은 자신이 즐기는 게임 캐릭터들의 승률 및 픽률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집하고 있 으며, 그에 따라 자신이 즐기는 게임 플레이어의 밸런스에 관해서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자는 밸런스 관련 다양한 연구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게임 속의 밸런스를 맞추는 기준이 있다면, 또한 그 기준에 대 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그 기준을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다양한 밸런스 패치 활용 및 게임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레이어들의 밸런스 패치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MOBA 장르 게임을 중심으로 밸런스 패치 예측 기준을 수립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별히 밸런스 패치를 진행할 때 캐릭터들의 특성 및 개발자의 패치 코멘트, 그리고 승률 및 픽률 변화에 따른 이후 패치 로드맵까지 고려 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플레이어들의 밸런스를 더 쉽게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고, 플레이어는 밸런스 패치를 예측하여 더욱 효율성 있는 게임 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MOBA 장르 게임의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할 것이다.
        4,300원
        2.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rveys basic costumes and games from the 11 Genre paintings by Junkeun Kim in the book “Korean Games (Stewart Culin 1858-1929)”. The characters in the painting are 3 adult males, 19 boys, and 8 girls. The characters of the general dress-costumes, games and the culture of life from the late 19thCentury in genre painting of Junkeun Kimare are as follow. It is classified as a children’s game and combined game, children’s game classified one more as a boy’s game and the girl’s game from life culture. It also classified the body type and the multi complex type by game character. The boy’s games are kite-flying, spinning tops, playing shuttlecock with the feet, blind man’s bluff, yut (“Four-Stick Game”). Girl’s games are seesaw with board, blind man’s bluff, and marbles. Combined games are mount shoulder, sledge, tightrope walking for men with boy. The strengthen one’s body type were seesaw with board, tightrope walking and the multi complex type were yut (“Four-Stick Game”), kite-flying. The study results on the costumes of 19 boys, 8 girls, and 3adultsin genre paintings are as follow. Boy’s hair was knotted on the back of the head by ‘Dang-ki’ (Korean traditional hair ribbon) with the middle part in his hair which was colored red and bright brown. A ‘Go-kal’ (peaked hat), ‘Cho-lip’ (straw hat), towel hood, ‘Pung-cha’ and ‘I-um’ for winter on their heads. They wore a ‘Po’ (Korean traditional coat) which was ‘So-chang-i’, ‘Do-ru-ma-gi’ and ‘Jun-bok’ (Korean traditional vest). They were green, yellow green, violet, pink. The boys wore ‘Jeogori’(Korean traditional jacket) which were blue, red, violet, green and pink which reached down to the hip line. The variety of colors was more colorful than men’s. The ‘Jeogori’ had mostly ‘Dunggun-kit’ (a round head collar) or ‘Dangko-kit’ (a round head with nose collar), ‘Kal-kit’ (knife shaped collar) with white ‘Dong-jung’ and fit around the neck and ‘Go-rum’ was short and narrow. ‘Baji’ (slacks) were white with a colorful sash (green, blue and red) knotted at the waist, worn ‘Hang-jun’ (shank band). They wore white ‘Beoseon’ (Korean traditional socks) with Jipsin (straw shoes), ‘Mi-to-ri’, black or red, brown ‘Hea’ (leather shoes) and ‘Sulmal’ (sleigh shoes).They wore a green, indigo and red collar ‘To-si’(Korean traditional wristlets) for winter and attached a ‘Yum-lang’ (a Korean traditional pocket bag). The common man wore ‘Jeogori’ (Korean traditional jacket) which were green and white with a white lining that reached down to the hip line with white ‘Baji’ (slacks). The shape and method of wearing modern man’s Hanbok (a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mained unchanged. But it istied by another color sash for padding Jeogori in winter games. They wore white ‘Baji’ (slacks) with a colorful sash (red and white) knotted at the waist and wore a ‘Hang-jun’ (shank band).Park C.S. et al. (2009) found the same result in that the basic color was white with various intermediate colors. They wore padded Jeogori and Bajiin the winter while wearing, single a layer ‘Po’ inthe summer. They wore their hair in a topknot (sangtu) with a green color towel surrounding the forehead with ‘Bungezi’ and ‘Got’ on their head in a topknot. They wore ‘So-chang-i’, but they often did not wear ‘Po’ and put on ‘Jipsin’ (Korean traditional straw shoes) or ‘Sulmal’ (sleigh shoes). The girl’s hair was knotted to the back of the head or with partedbraidedhairso that there was a pigtail over each ear tied with a ‘Dang-ki’ (a Korean traditional hair ribbon) with a middle part in the hair. ‘Jeogoei’ was short and fitted with the narrow sleeve of a short and narrow ‘Go-rum’. It has ‘Dunggun-kit’ (a round head collar) or Dangko-kit (a round head with nose collar) with a white ‘Dong-jung’ and fit around the neck.They wore indigo, green, red ‘Jeogori’ matching the color of the ‘Kit’ (collar), ‘Go-rum’ (ribbon), ‘Kut-dong’ called ‘Ban-hoijang-jeogori’ and with a indigo/red, green/red, and red/indigocolor combination.They wore ‘Chi-ma’ (a Korean traditional skirt) colored red, green, and pink that contrasted with the ‘Jeogori’. The right side of ‘Chi-ma’ was covered to the left side and knotted by a waist band stringin the front of the chest and tucked up skirt. The width of ‘Chi-ma’ was adequate. The white inner slacks came from under the skirt. They put on ‘Jipsin’, brown ‘Hea’ (leather shoes). Through genre painting in the 19thcentury, we know a boy’s ‘Jeogori’ and ‘Ba-ji’ were similar to a modern man’s and boy’s ‘Hanbok’ with a traditional method of wearing. We believe that the originality of a traditional costume was an unchangeable characteristic. Girl’s ‘Jeogori’ and ‘Chi-ma’ changed in length and width, and method of wearing; however, the basic shape did not change. The analysis for artist’s genre painting which was ordered by a foreigner and the late of 19thcentury’s children’s costume and game of life culture is useful to match the counters and show how to wear a modern Korean costume used to understand the ‘Hanbok’ and establish a costume of life.
        3,0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n-line game,the generation and flow of game mone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is how to take user experience, being consumed contents in game. To spend game money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game contents, systems and level design. This paper have tried to diagram between game flow and needs point of user for giving guidances developing games through a working-level analyzing. It also can allow us to see a point of game flow with business model for game developer or researcher. I hope that this study helps further studies and researches for a variety of genres and can be served as a foundation regarding the issue
        4,000원
        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bile games are different from the PC online games, because of the circumstance of playing, payment, and the immediacy. the frequency of use is higher than the PC online games, but the connecting time is much less. The accessibility to games is much easier. Th purchase behaviour is made on the spot. The game industries are focused on this unique market, studies the success factors and are developing numerous titles. However, there is quite a few researches for academic purpose. The mobile game market is rapidly changed and followed by the late fashions. More than one year, there is an uprising genre which has good sales history. 40% of top 50's of mobile game market on the spot are this specific genre called collectible card game. The genre has an history from the offline collectible card games like baseball player collections to Japanese style cartoon illustrated mobile collectible g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obile collectible card game genre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collectible card games. Factors are adopted from precedent studies and a pilot interview. Subjects of 175 members who has been experienced mobile collectible card games responded the 15 questionnaires designed for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graphic design of cards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graphic design of card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4,000원
        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의 신생 장르 중 하나인 ‘배틀로얄(Battle Royale)’ 장르의 형성과 다이 나믹을 고찰하고, 극적 긴장을 유발시키는 게임성의 구성요소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장르의 정전 텍스트로 <배틀그라운드>를 선정하고 MDA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게임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게임 다이나믹 차원에 있어, 배틀로얄 장르는 불확실성과 필연성의 교 차를 통해 게임의 긴장감을 유지하는 게임성을 드러낸다. 불확실성은 게임 월드의 무작위성과 플레이어의 상태 정보 은닉을 통해 강화되며, 필연성은 전투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지형의 설계와 시간에 따라 활동 가능한 공간을 제약하는 두 형태를 통해 발현된다. 이와 같은 기법은 플레이어의 의미있는 선택을 유도하고 긴장감을 끝까지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배틀로얄 장르의 게임성을 구축하고 있다.
        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비동기식 접속방식을 통하여 플레이어간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이러한 특징은 SNG 플레이어간의 적극적인 사회적 연결성을 요구하며, SNG의 주된 목적에 속한다. SNG의 사회적 연결성은 플레이어의 게임 내 행동속성을 공간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SNG 플레이어의 행동을 Social Connectedness(SC)와 Non-Social Connectedness(NC)로 나누고 세부행동을 분류, 탐색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각 행동을 비교하고 재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NG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는 데 있어 그 범위를 제안하며, SNG 플레이경험을 통한 플레이어의 행동을 단순화하여 대규모 플레이어의 행동을 빠르게 확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지털 게임의 장르를 구분함으로써 한 장르에서 게임 간 유사성을 볼 수 있으며, 장르 간 차이점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통용되는 디지털 게임의 분류 기준이 모호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게임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분류 기준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아 하나의 게임이 여러 장르에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은 게임을 구분하기 위한 본질적이고 객관적인 특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 참여자, 대응 참여자, 통제 캐릭터를 기준 축으로 하여 상호작용성 관점에서 디지털 게임의 장르를 구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프레임워크를 디지털 게임에 적용하여 분석한 후 게임 프레임워크의 유용성과 이를 활용한 향후 연구 방향도 살펴보았다.
        8.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장르별 소비자 지각도 평가는 기업의 시장점유율, 신규 고객유치, 고객 유지, 경쟁기업 위치 정립 등 기업의 운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특히 소비자가 제품 및 기업에 대해 나쁜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지각되어 버린다면 금방 경쟁사에게 고객을 놓칠 수 있고, 시장에서 이미지 회복을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하지만 상당수의 게임 업계는 제품판매에만 급급한 홍보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이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제품을 팔아 고객을 유치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고객유지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 매출과 장기적인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서는 고객의 지각도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의 방향을 게임제품과 기업이미지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지만, 논문이 특정 업체 제품 및 특정 업체방향으로 기울게되는 소지가 있어 모든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게임장르별 및 게임 특성들을 분석하고 거기 에 맞는 전략을 제언해주는데 중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