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남 여수시 소재 거문군도에 분포하는 박달목서의 개체군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보존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박달목서 개체군의 보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거문군도 내 4개의 도서에 분포하는 박달목서는 고도에 31개체, 동백섬 41개체, 서도 49개체, 동도 1개체로 총 12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서도와 동백섬에서는 개체 수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122개체 중 성숙목은 81개체였으며, 41개체는 미성숙목 이었다. 성숙목 중 암나무는 39개체, 수나무 42개체로 성비는 1.08로 추정되었다. 유효집단크기는 23.0~30.9으로 성숙목 집단의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수나무의 공간분포는 암나무가 수나무에 비해 집중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박달목서의 유전적 다양성은 10개의 isozyme에서 12개의 유전자좌가 산출되었고, Nei의 유전적 다양성은 평균 E=0.148로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아집단간 유전적 분화 정도는 Fst=0.078로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유전자 이동(Nm)은 2.94로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거문군도에 분포하는 박달목서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및 보존생물학 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박달목서 개체군의 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문도 해역에 자생하는 홍합의 수심별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공존 또는 경쟁하며 생활하는 주변 저서 생물상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홍합은 수심이 낮은 곳에서 밀도가 높고 비만도가 낮은 반면, 수심이 깊어질수록 밀도가 낮고 비만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형태적특성도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장과 전중량의 상관관계식에서도 수심 2 m에 비하여 수심 12 m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수심에 따라 각장이나 각고의 성장 및 전중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중 해조류는 홍합의 패각을 기질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소형생물과 주변환경에 서식하는 대형생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암반조하대의 서식특성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광 량에 영향을 받아 밀도 및 생체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저서동물은 팔각따개비가 홍합의 패각과 주변 서식공간에 모두 분포하고, 굴의 경우는 함께 분포는 하고 있다. 그러나 수심 2 m 지점에서 굴이 우세한 지점에서 홍합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홍합이 우점하는 수심이 깊은 지점에서는 굴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두 종 간의 공간경쟁에서 수심에 따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대형 해조류가 번성하는 지역의 경우, 홍합의 군집이 발달하지 않고 있어 대형해조류의 서식 유· 무에도 홍합의 생존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500원
        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수에서 출항하여 백도와 도서문화가 살아있는 거문도를 거쳐 제주 김녕항으로 이어지는 해양관광 크루즈 세일링요트 항로를 제안하였다. 최근 해양레저 활성화에 비례하여 안전사고도 늘어나고 있으며, 세일링 요트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항로 개척은 지역별, 해역별로 조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문도의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면 해양문화의 소개, 국제요트대회유치, 다기능항으로 개발 등이 필요하고, 특히 해당 항로의 운항패턴과 밀집도 분석 등이 추가로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세일링 요트의 운항 안전율을 높여 지역 관광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chthyofauna between the eelgrass bed waters located in the open sea and the nearby sea free of eelgrass, a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6 species. Comparing the fish collected on the eelgrass bed (St.2) of Geomun–do coast with the fish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St.1) void of the nearby eelgrass bed,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413 individual with 16,110.6g in weight while the fish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290 individuals with 12,961.5g in weigh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ize and biomass of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were higher than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except dominance were also much higher even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4,000원
        9.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을 분포하는 꽃새우는 북쪽으로는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사랑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거문도 인근해역 꽃새우의 암ㆍ수 성비는 암컷이 48.6%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회 신생 개체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고, 갑각장 19 ㎜ 이상의 암컷에서는 반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8 ㎜이고, CL<SUB>50</SUB> 성 성숙체장과 교미체장은 각각 갑각장 18.89 ㎜와 19.19 ㎜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변화에 의해 추정된 거문도 개체군의 수명은 암컷 14-15개월이고, 수컷은 13-147개월 나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ㆍ수 각각 1.40/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L<SUB>∞</SUB>)은 암ㆍ수 각각 29.54 ㎜와 18.95 ㎜이었으며, 암컷이 수컷 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