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시작된 한류 문화의 현상, 단계적 성장 과정, 유행과 쇠퇴요인, 한류 문화와 ‘파친코’ 드라마를 통 해 본 한일 역사논쟁 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한류 붐의 요인은 서울올림픽, 일본 대중문화개방과 한일 공동선언,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 ‘겨울연가’의 인기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둘째, 일본에서 한류의 단계적 성장은 한류 영화, 한류드라마, K-POP 순서로 발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에서 K-POP 가수의 유형은 ‘한류드라마 유형’, ‘한일 동시 활동형’, ‘기타 유 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일본에서 한류 붐의 유행과 쇠퇴에 관해 기존 연구는 영토문제와 역사문제 등 정치적 요인들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류 문화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나 넷플릭스를 통해 다 양한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K-문화와 ‘파친코’ 드라마의 의미는 한류 문화와 재일동포의 디아스포라적 서사가 결합된 작품이라는 점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 내 한류, 즉 K-콘 텐츠라고 할 수 있는 K-영화, K-드라마, K-POP는 일본 청년층 수용자 들을 대상으로 한류에 의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태도 를 호의적인 태도로 바꾸는 모멘텀 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대중문화산업은 미국과 일본 같은 나라들의 문화적 영향력을 많이 받은 바 있다.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양상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 아이돌 그룹들의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한국 대중문화산업은 급성장하기 시작했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내 기획사를 중심으로 아이돌 육성시스템이 완비되었으며, 국가지원이 아닌 민간부문 중심으로 대중문화산업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최근 K-Culture로 불리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세계적인 선풍을 일으키며 한류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한국의 대중문화는 ‘K-Pop’을 필두로 전세계적인 인지도와 지명도를 쌓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런 현실에 주목하여 K-Pop의 문화산업적 성장을 견인한 팬덤 현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류의 전세계적 확산과 K-Pop 팬덤의 진화 양상을 살펴보고, 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가 어떻게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5,100원
        3.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udy on Hallyu contents consumption habits according to religion was not covered as a research topic in a variety of Hallyu studies, but the acceptance of Hallyu content, of course,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overall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literature and expert FGI in relation with the three major religions Buddhism, Islam, Catholicism and an survey research was held with Buddhism, Islam, Catholic countries such as Vietnam, Malaysia, Costa Rica, Peru, Chile.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ults are discu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swers of the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GI, 3 emerging issues and 18 sub-issues were identified. 3 main issues are the diffusion state of Hayllu content, the problems in the diffusion process of Hallyu content, and the diffusion method of Hallyu content. Expert reported Buddhist countries in and around Southeast Asia is on a maturity phase and Muslim regions focused on Turkey and the Middle East is on a growth phase. In addition, Catholic region with a focus on Latin America had been understood that the introductory period has passed but somehow entered the lower level of growth than the Islamic sphere. Specially, it was confirmed by the expert interviews that our Hallyu content was mainly spread in the Buddhist countries in and around Southeast Asian region.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in Buddhist and Islamic countries people who experienced Hallyu content, ‘drama’ had the highest response and in Catholic countries, ‘K-Pop’ had the highest response. Secondly, the experience regarding Korean culture has shown to be ‘Korea food’ regardless of the religious sphere. The contacting channels of Hallyu content were through the free internet services such as youtube, P2P and etc. regardless of the religious sphere. Genre preference in Buddhist countries chose ‘Entertainment’, Islamic countries ‘drama’, Catholic countries ‘K-Pop’ as their favorites. The most preferred Korean drama genre showed to be ‘melodrama’ regardless of the religious sphere and ‘limited amount of contents’, ‘inconvenient content transfer process’ showed to be the highest response to the inconvenience using the contents. Results of examining the impact of the contents on religious image of Korea, it is recognized as a positive impact regardless of the religious spher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act of Hallyu content on religious life, neutral response such as "it has nothing to do with religion" was the highest. This shows the Korean Culture & Content does not help, nor disturb the religious life. Interest in the Korea Culture and the craze in the popular culture throughout China, Japan, South East Asia, and the spread of Korean drama, movies, and K-Pop through Europe and South America is cultural phenomenon that is increasing. Based on this, by covering areas such as fine arts, celebrity, tourism and etc. it is expanding gradually from culture Hallyu to economy Hallyu. However, focusing on the short term economic performance on the traditional Hallyu can’t avoid the criticism. It will be able to provide new country image and brand management focusing also on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values besides the economic benefits.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based on the religion it is possible to deriv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Hallyu as a cultural content, and in terms of culture communication Hallyu consumer analysis and response as strategic, politic planning. Through this study, if an in-depth study of strategic subject and action plans research is followed, policy utilization value can be even gre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