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rmy is concerned about the decrease in enlistment resources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weakening of military combat power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military service period. Now, the military's quantitative growth is no longer limited and it is a time for qualitative growth. To this end, the Army has been applying the Israeli learning method Havruta to recruit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since 2019. After applying Havruta, several scholars have studied the effect of recruit training applying Havruta.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recruit training applying Havruta improves the inner motive, creativity, and military service value of traine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rainees' inner motive, creativity, and military service value affect thei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the effect of recruit training applied with Havruta on achieve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and military family (professional soldiers within 4th degree) of the traine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72 recrui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military service value did not affect training satisfaction.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reativity on trai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new recruit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ilitary service value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military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rmy's recruit training development plan and effective training system.
With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u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focus o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of questioning, discuss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 Harvard learning method is in line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focus. To make the Harvard lear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any level of Mandarin students, including entry level student who just started to learn initial consonant and syllable r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planning to introduce the method to Korean Mandarin class to enhance Korean student language learning ability. The thesis emphasize the application structure and detailed practice of Harvard Chinese learning method in the following chapters. Introduce the significance of the Harvard learning method for Chinese learning. In the following second chapters will focus on explain what is Harvard learning method base on prior study. How to design the actual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more in the third chapter. The thesis make a sound analysis and exposition of three Harvard teaching modules: class design, actual practice and post study assessment. In the final chapter, brief the Harvard learning method future research interests integrate students feedback.
】본 연구는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하브루타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브루타 이론을 토대로 학문 목적 유학생을 위한 ‘논쟁 중심 하브루 타 수업’을 모형을 설계하고 온라인-오프라인 학습 환경에서 수업을 적용 하였다. 학습자의 인터뷰를 통해 ’의사소통 말하기 능력 향상‘, ’사고력 확 장‘, ’자기 주도적 학습‘, ’활발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하브루타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인습적인 두 가지 형식인 사변(思辨)도야와 수사(修辭)도야 의 통합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하여 텍스트해석 연구방법을 통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합의된 정설은 없다. 이는 교육학의 방법론적 복수주의에 기인 한다. 본 연구는 교육현상의 본질을 사고와 표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러 한 두 가지 양식이 통합되는 전일성을 교육의 합당한 목표로 삼았다. 이에 대한 논증은 씽킹과 토킹이라는 두 가지 교육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장을 살피고 결론적으로 통합 필요성과 가능성을 고찰함으로 가능하다고 보았다. 역사적으로 도야재로서의 씽킹은 플라톤의 철학에게서 비롯되어 브루너에 이르고 있으며, 도야재로서의 토킹은 이 소크라테스의 수사학에서 시원(始原)하여 현대 하브루타교육에 이르고 있다. 두 가지 도야형식은 서로 상이한 관점과 이해를 바탕으로 유산처럼 전승되었지만 오늘날 학교교육 현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볼 때 궁극적으로 하나가 되어야 할 교육인간학적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즉, 교육의 두 가지 형식으로 전승되어 온 씽킹과 토킹의 도야들은 언어와 전인교육이라는 점에서 통합의 접점이 드러났다. 향후 우리교육 현장이 인간교육의 본질 을 회복하고 교육의 인간화를 원한다면 도야의 두 가지 유산과 형식인 씽킹과 토킹의 묘합(妙合)을 통한 진정한 전인교육을 추구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