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일본어 차용 문제, 특히 일본어 한자어의 홍콩사회로의 전파 및 영향에 대해 중점적 으로 논술하였다. 본고에서는 趙元任과 鄒嘉彥(1976년)의 “더 넓은 시각으로 차용어 문제를 바라 봐야 한다”는 견해를 빌어, 더 넓은 관점에서 차용어 어휘의 현상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음역어, 방역어(仿譯詞), 일부 ‘사교귀국(詞僑歸國)’어 및 형태나 의미를 변화시킨 차용어 등을 차용어 범 위에 포함시켰다. 홍콩에서는 이제껏 많은 외래 차용어가 유행하였는데, 그 중 ‘일본어 차용어’는 여러 형태로 열풍 을 일으키며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주목할 점은, 최근 이러한 일본어 차용어의 사용이 더 이상 ‘시대의 요구’에 의해서가 아닌 단순한 홍보나 유행, 대중 영합을 위해 이루어지며, 어의 차용에서 형태소 변형, 심지어 일본어 문형과 중문 한자가 뒤섞인 칼럼이나 문장들이 창작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전달 혹은 응용 방식이 중국어의 규범을 혼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홍콩 잡지 미디어에 사용된 일본어 차용어를 수집하여, 이를 대상으로 대중 시민들의 인지 상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홍콩사회에 전파된 일본어 차용어의 현상과 규칙을 탐색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언어 오염 현상에 대해 지적하여 교학 자 및 문자 학자들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편 최근 홍콩에서 유행하는 일본어 어휘를 수집하고 그 안에 나타난 문화 및 언어 추세를 분석 하였다. 대부분의 언어 자료는 일상 회화나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하는 잡지에서 수집하고 일본어 한자 사전을 참고한 뒤, 일본어 번역자를 통해 일본어 한자 및 관련 차용어의 자형, 자음, 자의를 감수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사, 사회인사, 대학생 및 중고등학생을 포함한2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연령대의 일본어 차용어에 대한 인지 상태를 이해하고 광둥어에 대한 침투 정도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 일본어 한자의 원형 차용과 기존 한자와의 의미 관계를 통해 일부 자형 및 자음의 혼란이 야기됨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차용어의 유입은 문화언어 접촉 및 교류 아래 불가피한 현상이다. 긍정적인 측면에 서, 일본어 차용어의 대량 사용으로 홍콩 광둥어가 더욱 풍부해지고 활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 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차용어 사용자들은 취사 선택을 신중히 하고, 그 의미를 규범화하여 어 음 및 어의상의 혼란을 줄임으로써 언어의 표현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5,500원
        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말민초(清末民初) 일본인들에 의해 새롭게 조어된 신조어들이 일본에서 번 역된 도서나 일본에 유학한 중국인들에 의해 대거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한편 8,90년대 일본의 신조어는 일본 문화와 기술의 유행으로 인해 중국과 대만, 홍콩 등지로 전파되었고, 이는 일본어 신조어가 중국어로 유입되는 제2의 전성기가 되 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는 과거에 대규모의 언어접촉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두 언어 사이에는 대량의 동형사(同形詞)가 존재하고 있는데, 일본문화청이 발간한 《中国語と対応する漢語》(文化廳,1978) 중에는 75%가 동형사(同形詞)이며, 그 중 대부분이 의미가 같거나 혹은 어휘의 의미가 매우 비슷한 「S(Same)」류에 속하고 있다. 모국어의 대한 능력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에게 “글자를 보면서 뜻 을 알게 되는” 현상으로 옮겨가고, 비교적 쉽게 일본어 속의 한자어휘를 습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중국어 속의 지식으로 일본의 한자 어휘를 이해할 때는 실 제 어휘의 의미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경우가 쉽게 일어나 는데, 이는 두 언어 사이에는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은 21세기(2000년부터 지금까지)까지 발간된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일 본에서 온 어휘”가 홍콩 사회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특징 및 그 배경을 살펴보고, 홍콩의 일본어 학습자들이 중국어와 일본어의 혼란스러운 언어 환경 속에서 일본 한자어를 습득해 나가는 어려움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5,700원
        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清末民初,大量由日人創製的新詞譯詞隨日譯外國書籍及留日中國士子傳入中國;八九十年代,日語新詞隨日本的流行文化和技術,傳入中港臺等地,掀起日語新詞滲入漢語的第二個高潮。中日之間過去有過大規模的語言接觸,令兩種語言之間存在大量的同形詞。沈國威(2010)指出中日同形詞佔46.9%**。 日本文化廳(1978)《中国語と対応する漢語》中所收錄的詞彙裡,75%為同形詞,當中大部份更屬於詞義相同或非常接近的「S(Same)」類***。母語的正遷移作用令漢語母語話者「望文生義」,較易掌握日語中的漢字詞彙。然而,以漢語中的知識理解日本漢語詞彙,其實容易造成詞義理解上的偏差和誤解,因為中日同形詞中還有一些詞義不同的同形異義詞。本文將以21世紀(2000至2008)的報刊、雜誌為對象,探討「日語借詞」在香港社會的使用概況、特點和背後的原因等,藉以了解香港日語學習者在「中日夾雜」的語言環境下,掌握日語漢字詞彙的困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