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아진 초지에 대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드그라스+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경운초지(paddock No.39)과 보파초지 조성(paddock No.44) 및 톨 페스큐 단파 경운초지(paddock No.64)를 조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에 거쳐 목초율,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비율은 No.64가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았다. 연평균 건물생산량은 No.64구가 13,234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No.39, No.44로 각각 10,636kg/ha 및 10,235kg/ha 순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No.39(갱신혼파)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다. NDF함량(2년평균)은 No.44구가 55.90%로 No.64 및 No.39 각각 58.42%와 57.00%에 비해 다소 낮았다.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과 동일한 경향인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았다. P의 함량(평균값)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고, K 함량은 2.23%~3.83%의 농도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각 3.01% 및 2.81%를 보였다. Ca함량(2년 평균)은 No.39구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Na함량(2년평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목초의 영양가치면에서는 갱신혼파(No.39)가 높았으나 목초 구성률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톨 페스큐 단파구(No.64)가 바람직한 것으로 났다.
        4,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실초지를 갱신을 통해 목초율, 목초생산성 및 방목에 의한 증체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목개시전인 1차(5.11) 조사 시에는 No.64구가 목초비율 81%로 가장 높았으며, No.39 71%, No.44 65% 순이었다. No.64구를 제외하고는 2차 및 3차 조사 시 목초율이 55%내외로 비교적 낮았다. 연가 총 건물생산량은 No.44가 13,459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No.64 및 No.39로 각각 13,232kg/ha, 12,042kg/ha의 생산성을 보였으나 오차드그라스와 페레니얼라이그라스 혼파구인 No.44구와 No.39구는 하고현상 등으로 인해 2차 조사 이후 급격한 수량감소를 보였다. 10,000㎡ 당 증체량은 No.39구가 70kg으로 No.64 및 No.44 각각 47.5kg과 36.2kg을 큰 격차를 보였으나 일당증체량은 No.39와 No.44는 각각 1.09kg과 1.08로 거의 같은 증체량을 보였고 No.64도 1.03kg의 일당증체량을 보였다.
        3,000원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내 소 방목지와 말 방목지에서 소똥구리류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2018년 5월부터 9월까지 소 방목지와 인접한 말 방목지 각 3곳(조천읍, 제1 산록도로, 안덕면)을 대상으로 월 3회 실시하였으며, 각 지역마다 함정덫(Pit-fall Trap)을 5m 간격으로 5개씩 설치하여 닭내장으로 유인하였다. 조사결과 소 방목지는 뿔소똥구리(Copris ochus) 21개체, 멸종위기Ⅱ급 보호종인 애기뿔소똥구리(C. tripartitus) 64개체, 렌지소똥풍뎅이(Onthophagus lenzii) 778개체, 모가슴소똥풍뎅이(O. fodiens) 31개체, 창뿔소똥구리(Liatongus phanaeoides) 2개체로 총 5종 896개체가 조사되었고, 종풍부도(Richness Index, RI)에서 다수종(Abundant)은 렌지소똥풍뎅이 1종 이었고, 나머지 종은 희소종(Rare)으로 나타내었다. 종다양도(H’)는 조천읍(0.29), 제 1산록도로(1.06), 안덕면(0.72)로 나타났다. 말 방목지는 각 14개체, 42개체, 205개체, 51개체, 1개체로 총 5종 313개체가 조사되었고, 다수종은 렌지소똥풍뎅이 1종, 보통종(Common)은 애기뿔소똥구리, 모가슴소똥풍뎅이 2종이었고, 나머지 종은 희소종(Rare)으로 나타내었다. 종다양도(H’)는 조천읍(0.76), 제 1산록도로(1.22), 안덕면(1.03)로 나타났다. 본 조사결과 소똥구리류의 종다양도는 말 방목지가 높았지만 조사기간 동안 안덕면에서는 4개체가 잡히면서 종다양도가 높았고, 소 방목지는 렌지소똥풍뎅이의 개체수가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종다양도는 낮았지만, 소똥구리류는 소 방목지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7.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forage production and grass intakes of warm season grasses for grazing horses in Jeju. The experimental field located at 450m altitude(Jeju Horse Training Center of Korea Racing Association) was divided into 3different treatment plots(3replications) without a fence between treatments, and sown by three treatments(bermudagrass, bahiagrass, bermudagrass+bahiagrass mixture). Three castrated adult horse a were kept on pasture from the 1 of October to the end of October without supplementary concentrates. 'Bahiagrass' cultivar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DM) yield with 8,887㎏/㏊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bermudagrass 8,699, bermudagrass+bahiagrass mixture 8,385㎏/㏊). The percentage of grass intakes was higher in the treatment of bahiagrass(92%)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bermudagrass+bahiagrass mixture 89, bermudagrass78%).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rm season grasses of bermudagrass, bahiagrass, bermudagrass+bahiagrass mixture can be used for grazing pasture of horses in the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