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neonatal neuromuscular system is accomplished by the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pinal neurons and its target cells, skeletal muscle cells, an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ffecting this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spension unloading (SU)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upon the development of the neonatal spinal cord. For this study, the neonatal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I, and an experimental group II. The SU for experimental group I and II was applied from postnatal day (PD) 5 to PD 30, and the NMES for experimental group II was applied from PD 16 to PD 30 using NMES that gave isometric contraction with 10 Hz for 30 minutes twice a day.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SU and NMES, this study observed neutrophin-3 (NT-3) and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 (MAP2) immunoreactivity in the lumbar spinal cord (L4-5) at the PD 15 and PD 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PD 15, lumbar spinal cord of experimental group I and II had significantly low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control group. It proved that a microgravity condition restricted the spinal development. At PD 30, lumbar spinal cord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experimental group I. It proved that the NMES facilitated the spinal development by spinal cord-skeletal muscle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bearing during the neonatal developmental period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Also, the NMES on its target skeletal muscle ca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e spinal cord system with a full supplementation of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neonatal developmental process.
        4,000원
        2.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드게임은 많은 수의 말들과 상태공간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게임은 학습을 오래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강화학습은 학습초기에 학습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학습 도중에 동일한 최선 값이 있을 때, 영향력분포도를 고려한 문제 영역 지식을 활용한 휴리스틱을 사용해 학습의 속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기존 구현된 말과 개선 구현된 말을 비교하기 위해 보드게임을 제작하였다. 그래서 일방공격형 말과 승부를 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개선 구현된 말의 성능이 학습속도 측면에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세계적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정부의 친환경 농업육성 정책에 부응하는 정밀농업기술 중 GPS를 이용한 이앙과 동시 변량시비가 벼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후 토양 질소검정량에 대한 공간변이 정도를 나타내는 Nugget값은 관행 대비 변량시비 후 낮아졌고, 공간구조 강도를 나타내는 Q값은 두 처리 모두 없어 공간의 존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2. 분얼기부터 성숙기까지 초장, 경수, 수수 등의 생육량은 관행 대비 변량시비에서 증가되었고 생육 요인별 변이계수가 낮아 상대적으로 균일한 경향을 보였다. 3. 완전미 수량은 관행 450 kg 대비 변량시비에서 492 kg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 되었고 변이계수는 현저히 낮아졌다. 4. 아밀로스, 단백질 함량, 백도 등 품질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변이계수는 변량시비에서 낮아졌다. 5. 비료살포작업에 대한 투입노동력은 관행 11.8시간/ha 대비 변량시비에서 61%(7.2시간)가 절감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