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교육의 효과성 분석을 위하여, K사 디 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에 참여한 수료자 679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 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습자들의 나이, 직급 등 일반적인 특성을 포함하여, 개인특성으로 자기효능감, 학습 민첩성,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정 특성으로 교육 만족도, 내용 이해도, 강사 전문성, 업무 관련성, 조직풍토 특성으로 전이기회, 상사지원, 그리고 현업적용도, 직무몰입, 직무성과에 대한 질문을 포함한 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업적용도 평균 차이 분석결과, 성별, 연령대, 직급, 수강영역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참여 횟수, 교육 전/후 학습모임 참여 경험, 교육 전 파이썬 프로그램 활용 경험 수준에 따른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 교육과정 특성, 조직풍토가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 중에서는 자기효능감, 교육과정 특성에서는 내용 이해도, 조직 풍토에서는 전이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내용 이해도, 전이 기회, 자기효능감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업적용도와 직무몰입,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업적용도는 직무몰입과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업적용도와 직무 성과와의 관계를 직무몰입이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 램에 참가한 학습자가 교육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현업에 적용하고, 직무에 몰입함으 로써 직무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하위변인을 반영한 최적 모형 도출 결과, 개인특 성인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 특성의 내용이해도와 조직풍토의 전이기회를 매개로 현업적용 노력과 실제 현업적용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업적용 노력에는 내용이해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실제 현업적용에 는 전이기회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수행을 위한 시사점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competencies for sale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to maximize profits in fashion retailing. An empirical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and data was collected from 200 salespeople and store managers working in fashion stores.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5.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job competencies identified by fashion store managers were: sales sense know-how, customer service skills, and sales person’s fashion style sense, product knowledge, fashion marketing and customer management. The job competency factors for sales training programs included empathy with the customer, product knowledge,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basic job requirement, and sales skills. These five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intentions and expectations of work performance of graduates. These factor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need of sales training program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training. Store managers in fashion retail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period for on-the-job training was either 2-4 days or more than 1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job efficiency for salespeople in fashion retailing.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취업처 개발 목표달성을 위하여 도시형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내조경 직종을 분석하여 일 중심의 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실습위주의 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맞춤형으로 개발하고 이를 교육한 후 교육대상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 정 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내용 구성을 위해 전문가 위원회에서 현재 발달장애인이 원예 관련 직종에서 수행하는 가능한 작업을 분석하여 상품제작과 상품 배달, 식물관리 및 이동, 상품 포장과 서비스를 대표적인 직무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직무교육 과정을 장애고등학생에 맞도록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을 때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89%가 만족 하였고 세부교육내용은 67%가 만족하였으며 실습내용은 78% 강사 89%를 만족하였고 세부 프로그램 중 식물원 환경미화 67%, 식물관리 67%, 식물원매장관리 56%, 식물장식이 55%로 높은 만족의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고등학생의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실내조경 직무교육은 높은 만족을 나타내었으므로 장애인의 도시형 농업기반의 직업교육 콘텐츠로 실내조경분야는 높은 가능성을 기대할 수 분야 라고 판단되어 향후 지속적인 직무교육과정개발과 수행평가 도구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