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식품에서 Salmonella Typhimurium 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검출에 대하여 LAMP에 기 반한 3M Molecular Detection Assay 2 (3M MDA 2)와 식품공전에 등재된 분리배지, real-time PCR의 검출 성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육회와 육사시미에 100–104 CFU/25 g 의 수준으로 S. Typhimurium와 L. monocytogenes을 각각 접종하였다. Citrobacter freundii와 Listeria innocua는 S. Typhimurium와 L. monocytogene의 검출에 영향을 주는 균으로 사용하였다. S. Typhimurium와 L. monocytogenes만 100–104 CFU/25 g수준으로 접종한 모든 시료에서는 분리 배지, real-time PCR과 LAMP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다. C. freundii와 L. innocua를 같이 접종한 경우에서 부분적으로 양성이 나타났다. 육회와 육사시미에 대하여 real-time PCR 보다 3M MDA 2가 더 검출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분리배지가 가장 검출효율이 높았지만 3M MDA 2와 큰 차 이가 없었다. 배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최소 일주일의 시간이 소요되고 PCR의 경우 inhibitor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정확한 검출이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LAMP에 기반한 3M MDA 2는 enrichment 후 다음 날 간단한 protocol을 통해 25분 이내로 샘플의 양성 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 식중독균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nomenclature and a code number for fruit commodities from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odex) corresponding with a commodity name used in South Korea. In addition, nomenclature or classification for commodity that needs an alteration or detailed examination domestically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Food Code (Korean and English version)’ and ‘Pesticide MRLs in Food’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 were used. As results, regarding a nomenclature or classification used in South Korea, it appeared that alteration or further examination was needed for the following (English name of commodity, coming from an English version of Food Code). First, reconsiderations for classification of Chinese matrimony vine, fig, five-flavor magnolia vine, and pomegranate are needed as they are classified differently between Korea and Codex. Second, in any case of Korean or English language, nomenclature of commodity is different even within Korea or when it is compared with Codex. Such commodities are: Asian citron, Chinese bush cherry, Chinese matrimony vine, coconut, crimson glory vine, date palm, five-flavor magnolia vine, five-leaf chocolate vine, Japanese apricot, Japanese cornelian cherry, jujube, kiwifruit (golden kiwi), Korean black berry, Korean raspberry, kumquat, lychee, mandarin, persimmon, plum, quince, raspberry, and trifoliate orange. Third, reconsiderations for peach and raspberry nomenclatures are needed as it is currently unclear whether ‘peach’ includes nectarine and an English nomenclature, ‘raspberry’, is used in Korea for both various varieties (red, black) and one specific varie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