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주로 현장조사와 문서수집을 통해 중국 윈난다이징포자치주 루이리시 더훙 다이족 전통마 을의 현황과 현대 사회발전이 덕홍 다이족 전통마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더훙지역의 지 형, 기후 등 자연배경과 사회구조,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통해 덕홍 다이족 마을의 입지선정에 대한 역 사적 이유를 확인하였다. 그 중 문헌조사를 통해 더훙시 다이족의 16개 무형문화재 보호마을 중 가장 잘 보존된 곳이 한사마을임을 확인하였고 다이족 전통마을 경관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한사마을을 공간구성과 경관요소로 나누어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사마을은 자 연공간, 농업공간, 생활공간, 도로공간, 공공활동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마을 외곽 경계부는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여 독립적인 형태를 띤다. 내부 공간구성은 채두(寨頭), 채심(寨心), 채미(寨尾)의 세 결절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심점을 통해 전체 마을 공간의 조직과 원시종교, 상좌부 불교가 어우러져 내향성을 더욱 확고히 하는 형태를 보인다. 한사마을의 경관요소는 건축, 식재, 시설물로 구 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경관 측면에서는 한사마을의 독특한 종교와 기후, 한족 문화의 영 향을 받은 독특한 빌라식(别墅式), 건란식(乾欄式) 건축양식을 확인했다. 둘째, 한사마을 현장조사를 통해 불교의 영향과 자급자족하는 등 상징성 및 실용성을 강조하는 식재경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시 설물은 대불교의 도덕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시설의 스타일과 기능도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한사마을의 공간 배치는 민족의 역사와 종교로부터 배태(胚 胎)된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종교적 신념과 공동체적 정신이 마을 전체를 지배하고 행태를 통제하는 경관을 보임을 확인하여 마을의 특수성과 보전 가치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와첩 구성경관에 관한 이론정립과 와첩 관련 경관의 설계와 연출 근거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하남성 신양시 향촌경관을 사례로 SBE-SD법을 결합하여 와첩 경관에 대 한 경관미를 평가하고 선호요인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결과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 인 구통계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일관적인 심미성을 보였지만 거주지 속성에는 차이를 보였다. 예술과 문화가치는 와첩 구성경관의 경관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평면구성 및 색채구성의 복잡도 는 오히려 경관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선호요인 을 추적한 결과 지역의 장소성 구현이 와첩 경관 연출의 우선적 고려사항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변 경 관요소에 부합되는 척도 구성은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결정적 선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와 첩 구성경관이 대부분 근경의 경관요소로 작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와(瓦) 자체의 질감은 긍정적 선 호요인으로 드러났으나 색채의 풍부도나 다양한 색상의 경관 연출은 경관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ce composition and landscape structure around the village forests in five villages located on the coast of Wando-gun. The research focuses on fiel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village forests constructed for the protection of villages and cultivated area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gun, which is the study area,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ountains behind the fo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landscape elements, it was concluded that two types of layouts exist. Regarding the space composition around the village forest on the coa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type A arranged in the order of sea → coast → village forest → village → cultivated land → rear mountain, and a type B arranged in the order the sea → coast → village forest → cultivated land → village → cultivated land → rear mountain. In the analysi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the elevation angle from the coast to the top of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forest was measured. Accordingly, elevation angles of approximately 16°–17° in the type A arrangement and 7°–9° in type B arrangement were determine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pac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the village forest with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elevation (changes in elevation angle) from the coast to the rear mountain.
토피아리는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여러 가지 동물모양으로 자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또는 작품을 일컫는다. 17~18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꽃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에 토피아리를 활발하게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피아리 경관구성 유형별 이미지 표현 및 소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토피아리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방법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외 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 식물원, 정원 등에 도입된 토피아리를 사진으로현지촬영하여 2010년 10월 20일부터 2010년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토피아리 유형은 단독배치형과 조합배치형으로 구분한 후 「캐릭터형」,「식물형」,「동물형」,「사람형」,「조형물평면형」,「조형물입체형」,「글씨형」,「정원형」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재는 ‘수목’, ‘첨경물’, ‘이끼’, ‘초화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250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토피아리에 대한 이미지는「인상적인」,「재미있는」,「신기한」,「아름다운」,「정교한」,「자연스러운」,「조화로운」 등의 이미지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토피아리 유형에 대한 선호도는 1개를 배치한 단독배치형보다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배치형을 선호하였다.셋째, 토피아리 이미지 표현에 있어 소재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인상적인」,「신기한」,「정교한」 표현을 할 경우 ‘이끼소재’가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표현을 할 경우 ‘첨경물’, 「아름다운」,「자연스러운」,「조화로운」 표현은 ‘수목’을 소재로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넷째, 토피아리 연출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표현방법은「인상적인」이미지 표현으로 ‘이끼’를 소재로 사용하여 ‘사람형’으로 구성하여 ‘조합배치’ 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chematic plan for renewing canopied landscape of Garosoo-gil of Chongju and to review to conserving the resources of streetscape of the Garosoo-gil.
The study reinterpreted the Garosoo-gil of tree canopied road, representing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road with main traffics as well as the image of Chongju city achieved buffer zone for open spaces to city green network.
The study relied on the present composition, the status of road trees and streetscapes; additionally, the present streetscape was performed with examinations of those factors, the composition of roadscape, the change of structure according to visitor's movement and road construction condition, which was composed with focused places on concerning the loss and demolition of trees by Garosoo-gil.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treetscape could be prospected to decreasing the number of trees and changing the sceneries of streetscape.
As a result, the dominant canopied streetscape was found three areas.
The analysis could help to find a way to establish the schematic plan for making the streetscape be symbolized and take place identified and better festival events with greens.
The study could not only suggest the place of the streetscape to be divided into conservation area and protection area, for tree canopy but also establish alternatives for making the Garosoo-gil be a beautiful street park and enduring for a better landscape of main entrance road.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ordinances on landscape composition by local governments, which are a part of the policy to activate landscape composition, by examining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For the purpose of specialized landscap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own characteristic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suggests factors to consider on the enactment of ordinance on landscape compositio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mpose landscape with an unique figure of the local government, it is required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s about the local landscape, to provide consistent programs of education and publicity related to the landscape composition and to encourage the involvement of local citizens and reward it. Second, the construction of the ordinance needs to build a plan of landscape composition for each district focused on the landscape composition, to introduce a system which enables self-designation of an ordinance, to establish a detailed guidance, to assign the duty to keep the guidance and regulate punishment in case of a violation of the guidance. It could be done by completing the common or basic elements on the construction of the ordinance on landscape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