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2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의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19종의 약제를 사용하여 미국흰불나방 노숙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yrethroid계인 deltamethrin EC, etofenprox EC, lambda-cyhalothin EC, esfenvalerate EC와 emamectin benzoate EC, tebufenozide WP, chlorantraniliprole WG, pyridalyl EW은 약제 살포 후 48시간 조사에서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metaflumizone EC는 72시간 경과후에 96.7%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methoxyfenozide SC는 96시간 경과 시점에서 100%의 높은 방제효과 가 나타내었다.
        3,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eris napi-complex in East Asia that comprises P. melete Ménétriés, 1857, P. dulcinea (Butler 1882), and P. nesis (Fruhstorfer 1909) has been taxonomically challenging to distinguish due to their similar appearances. In this study, P. nesis, typically found in central Japan, was discovered in the highlands on Jejudo Island,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conducted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 dulcinea and P. nesis, and confirmed that P. nesis occurs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nesis compared to P. dulcinea, along with DNA data.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사리명나방아과의 한국 분포종에 대해 재고찰한 결과, 총 두종을 확인하였다. 그 중, 애기고사리명나방(Musotima dryopterisivora Yoshiyasu, 1985)은 국내 분포가 재확인되며, 가무늬고사리명나방(Neomusotima fuscolinealis Yoshiyasu, 1985)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 다. 두종의 외형 및 생식기 특징을 사진과 함께 기술한다.
        4,0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세계적으로 50여종이 알려져 있는 Adrapsa속은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2종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drapsa notigera (Butler)를 국내 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학적 특징과 유사종과의 차이, 분포지역, 성충 및 생식기 사진을 제공하며 유전학적 정보를 통하여 속 내 다른 종과의 분류학적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4,0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certain the temperatur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Phthorimaea opercu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across its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To this end, the insect was subjected to six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s (13, 17, 25, 27, 32, 34±1°C), relative humidity (RH) levels of 65±5%, and photoperiods of 16 : 8 h light/dark. The developmental time of larvae was longest at 13°C, an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35°C, the developmental time tended to become shorter. At the pupal stage, all individuals developing at 13°C perished and were excluded from the calculation of the development period for the development model.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development, a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of the total immature stage was determined to be 9.4°C, and the thermal constant was found to be 454.5DD. In the analysis of the temperature-development experiment, the Lactin 2 model exhibited an optimal fit (R 2=0.90-0.98) for the total immature stage of P. operculella.
        4,0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알락명나방은 침엽수 구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잣나무에 피해를 준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잣나무림에 서 솔알락명나방의 활동기간 및 설치 높이에 따른 유인력을 조사하기 위해 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735마리의 솔 알락명나방이 유인되어 포획되었다. 솔알락명나방은 5월 11일부터 10월 11일까지 5개월에 걸쳐 유인되었으며, 활동 최성기는 6월 22일로 나타났 다. 페로몬 트랩의 설치높이에 따른 유인력 검정에서는 99.2%의 개체가 수관상부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포획되었다.
        3,0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산과 고성(경남)의 벼(Oryza sativa)와 무안과 화순의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로부터 2012년 9월과 2013년 3월 사이에 Chilo속(풀 명나방과)에 속한 월동유충들을 각각 채집하였다.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유전자의 부분염기서열과 성충 생식기 형태에 근거하여 벼에서 채집된 유충 은 이화명나방[C. suppressalis (Walker, 1863)]으로, 물억새의 유충은 나도이화명나방[C. niponella (Thunberg, 1788) (synonym, C. hyrax Błeszyński, 1965)]으로 동정되었다. 다른 여러 지역에서 이화명나방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된 성충 중 종 동정에 적용된 개체들은 모두 대상종인 이화명나방으 로 동정되었다. 두 종은 말령태로 월동하였다. 월동유충들을 채집한 후 수원지방의 야외조건에 두었을 때, 5~6월에 용화하였고, 14~88%의 유충 생존 율을 보였다. 3월 중 고성(경남)에서 채집된 이화명나방 유충과 1월 말에 화순에서 채집된 나도이화명나방 유충들은 채집 당시 휴면이 종료되어 발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종이 분리되지 않은 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실내집단의 갓부화 유충을 수원 야외에서 사육하였을 때, 6월 하순 부터 9월 사이에 발육을 시작하는 유충들이 월동유충이 생성되는 휴면에 유도되었다.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사육을 시작한 집단들로부터는 비월동태와 월동태 유충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4,600원
        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미기록종 Acronicta gigasa (큰뿔무늬저녁나방, 신칭)를 한국에 최초로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진단과 분류학적 기재문을 작성 하였고,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9.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그물나비속(Neope)의 검은눈그물나비(Neope muirheadii)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채집지 정보와 간단 한 논평을 포함하여,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1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mophora Hoffmannsegg, 1798 is a relatively large group in Adelidae, including about 350 species worldwide. Only 13 species are known to Korean insect fauna up to date. The present study is to report N. ochsenheimerella, which is new to Korea. N. ochsenheimerella is externally similar to N. wakayamensis but can be distinguished by having characters in male genitalia as follows: cucullus longer than N. wakayamensis and N. ochsenheimerella has two rows of curnus consisting of numerous minute spines.
        1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추는 수요가 연중 지속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며 수확간격 이 짧아 해충 다발생시 약제방제가 어려운 작물이다. 최근 검은무늬밤나방이 약제방제가 소홀한 포장에서 잎을 광포식하여 빠른 시간내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은무늬밤나방의 온도별 발육특성을 구명하여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검은무늬밤나방은 시설재배 상추에 발생한 유충을 채집하 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 태별 발육기간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유충은 보통 4회 탈피하였다. 25℃에서 알기간은 2.5일, 유충기간 10.0 일, 전용기간 1.0일, 번데기기간 7.0일로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0.5일 이었다.
        1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Trichophysetis is one of the taxa that has recently undergone frequent changes in its taxonomic position. Only four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including synonymized Hendecasis species. Recent studies on the taxonomic classification of Trichophysetis have not addressed any species inhabiting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newed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four Korean Trichophysetis species with one newly recorded species.
        1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Grapholita Treitschke, 1829 is a complex group belonging to the tribe Grapholitini of the subfamiliy Olethreutinae, due to their similar characteristics among the species. The genus comprises about 15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The majority of described species occur in the Holarctic region. To date, eight species of Grapholita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The genus contains several notorious pests such as G. dimorpha Komai and G. molesta (Busck). Among them, G. inopinata has been doubtful in distribution. This study aim to optimize species specific sex pheromone composition/amount and establish the distribution of the pest species of the genus Grapholita in Korea.
        1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줄수염나방아과는 나비목 중에서 가장 큰 분류군 중 하나인 밤나방과에 속한다. 분류군 내에서 날개무늬가 비슷한 경우가 있어 동정에 어려움이 많은 그룹 중 하나이다. 또한, 이 들은 산림 지역, 초지 및 물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생활 습성에 따라 일부는 임업 및 농업에 피해가 큰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중요한 경제곤충 그룹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분류동정이 어려운 줄수염나방아과 곤충을 대상으로 야외채집조사, 표본제작, 생식기 해부검경 및 DNA 바코드 등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분류학적 동정지침서를 작성하고자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19속 63종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DNA바코드 데이터는 정확한 바코드를 활용한 진단 및 동정 연구 등에 활용되고, 이들의 분포정보 구축, 형태적 특징 및 분자분석 연구의 기초데이터 확보를 통한 관련 분야 활성화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Hypsopygia was established by Hübner, 1825, with type species Phalaena costalis Fabricius, 1775. Hypsopygia is characterized by the elongated uncus and valva, and pointed saccus in the male genitalia. It consists of 105 described species (Nuss et al., 2003–2024) in the world, and 11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Kim & Paek, 2020; Shin et al., 2023). In this study, we reported on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Illustrations of adults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host plants of all examined species.
        1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Olethreutes, established by Hübner in 1822, is based on the type species Phalaena arcuella Clerk, 1759. Olethreutes is one of the largest group within the family Tortricidae, with more than 130 species worldwide. As of now, about 31 species of the genus Olethreute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poses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one new species, with three similar species form Korea.
        1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Trichophysetis is one of the taxa that has recently undergone frequent changes in its taxonomic position. Only four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including synonymized Hendecasis species. Recent studies on the taxonomic classification of Trichophysetis have not addressed any species inhabiting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newed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four Korean Trichophysetis species with one newly recorded species.
        1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ge copper butterfly Lycaena dispar (Haworth, 1803; Lepidoptera: Lycaenidae) has been categorized as a near-threatened species (NT) in South Korea from 2012 mainly due to limited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visited 36 sites spread across all South Korean provinces to verify the distributional range of the species and sequenced mitochondrial COI for 53 individuals from nine sites. We observed L. dispar at 15 sites in six provinces, including the two previously known provinces, indicating a southward range expansion. The in-field monitoring and genetic data collectively suggested that L. dispar does not have a limited distribution nor is it isolated, indicating that it should be reclassified as less vulnerable. Our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mbination of field and genetic data can provide a more reliable assessment of the stability of a species.
        1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learwing moth, Synanthedon bicingulata (Staudinger, 1887), is a pest that infests various species of cherry trees. However, genetic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us Synanthedon including S. bicingulata, is limited. In this study, we sequenced 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species. The 16,255 bp of S. bicingulata mitogenome differs from the typical gene arrangement formed in Lepidoptera: trnQ-trnS2-trnM-trnI arrangement between the A+T-rich region and the ND2 junction. Moreover, the genome has untranslated repetitive sequences in the intergenic space between lrRNA and trnV, as well as the CGA start codon in COI and the TTG start codon in ATP8. Similar observations are noted in species belonging to the tribe Synanthedonini within the genus Synanthedon.
        2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rgyresthia Hübner, [1825] of the family Argyresthiidae is known to comprise over 150 species worldwide. Among them, more than 70 species are recognized in the Palearctic region. The Korean fauna of the genus Argyresthia includes 11 described species to date. In this study, we report three species of the genus Argyresthi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brockeella (Hübner, [1813]), A. longalbella Liu, Wang & Li, 2017, and A. mala Liu, Wang & Li, 2017. All available information, images of adults and genitalia for species are provid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