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 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aturated fats, α-linolenic acid, EPA and DHA on the lipid hydroperoxide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microsomes and in plasma lipid of rabbits, the animals were fed on the perilla oil rich α-linolenic acid or sardine oil rich EPA and DHA diet for four weeks Were examin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was an accumulation of arachidonic acid(AA) 20:4 n-6,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DHA) 22:6 n-3,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sardine oil was an accumulation of α-linolenic acid(LNA) 18:3 n-3, and arachidonic acid(AA) 20:4. The p/s ratio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changed from 7.4 to 2.27 for plasma lipid and 2.47 for liver microsomes.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was 3.48 nmol MDA/ml and 4.35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respectively, in perilla oil diet. The lipid hydroperoxide liver was 4.22 nmol MDA/ml and 67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rnes in sardine oil diet.
Lipid levels in the tissues of liver and intestines of O.bartrami amounted to 40.0% and 1.5%. The new compounds was found to be ethyl acylates, from a deduction of their detailed 1H-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and 13C-NMR as well as infra red spectra (I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were mainly composed of C16:0(19.0%), C18:1(16.2%) and C22:6Ω3(15.7%), followed by C20:1(9.4%), C22:1(6.4%) and C18:0(5.4%). New compound A and B were seemed to derived from the cleavage of glycerol moieties of triglycerides by microbial activities during storage in a frozen state. Compound A contained C16:0(38.2%), C18:1(13:4%), C20:1(13.3%) and C22:1(11.7%) as major components, while compound B predominantly compris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C20:5Ω3 (41.2%) and C22:6Ω3(36.1%). In both compounds small amounts of odd numbered fatty acids were also detected (3.8~2.2%).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