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다이어트 식품을 개발을 목적으로, 키토산과 견 피브로인의 복합체를 만들고 성질을 조사하였다. 키토산은 대동새우로부터 추출하였고, 견사 피브로인 섬유는 누에로부터 추출하였다. 견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용해도를 조사한 결과, 용해도는 8M LiBr이상의 농도와 40℃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견사 피브로인의 아미노산 조성은 천연견사 및 용해시킨 피브로인과 같았다. 키토산, 견사 피브로인 복합체의 아미노산 조성은 glycine, alanine, serine, tyrosine, threonine 및 glutamic acid 순서를 많았다. 또한 IR 스펙트럼 결과, 키토산·견사 피브로인 복합체는 배합비율에 따른 스텍트럼상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생균제로서 가능성 있는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발효식품인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내산성, 내담즙성, 내췌장 액성 및 유해균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특히 분리된 균종 중에서 FF-3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Salmonella sp. 과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FF-3유래 박테리오신은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에서 넓은 항균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선별
단감분말을 첨가한 호상 발효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탈지분유에 단감분말을 4% 및 7% 첨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lus 균주를 접종하여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능적 특성 및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단감분말은 단백질 2.2%, 지질 30.5%, 탄수화물 56.6% 및 회분 2.5%를 함유하였다. 단감분말을 첨가하여 24시간 발효시킨 발효유의 유기산중 lactic acid 농도가 1.12%∼1.21%로 탈지분유만을 사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ohenolic compound from extract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were water-soluble extract 7.98%, methanol extract 12.30% and ethanol extract 11.63%. The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at the levels of 0.5% were higher than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BARS(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issues microsome induced with Fe++/ascorbate,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errdctively suppressed in liver and spleen. I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thiocyanate method against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but BH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showed to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
The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hesperetin, hesderidin, naringenin, and naringin, on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were studied in three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Hesperetin showed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by measuring the malondialdehyde production using the thiobarbiturate and thiocyanate methods, the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al membranes, and DPPH () metho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lavonoid aglycone forms, hesperetin, Citrus aglycone flavonoid, suggest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is effect indicate more potent in the aglycones than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