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지역 전 학령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표준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3년 9월 27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김해 소재의 C도서관과 창원 소재의 B도서관과 J 도서관에서 만 4세~6세 아동 60명(남아 30명, 여아 30명)을 대상으로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VPT-3)를 사용하여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별 시지각 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세가 23.0±2.18, 5세가 25.4±3.02, 6세가 31.2± 3.46이었으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있어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 성별과 주거 지역 간 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580, p=.205). 교정연령과 시지각 연령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r=.783, p=.000), 원점수, 표준점수, 시지각 연령은 모든 연령의 아동에서 평가도구 개발대상인 미국 아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전 학령기 아동은 같은 연령의 평가도구 개발 대상인 미국 아동에 비해 시지각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MVPT-3을 사용한 평가와 해석 시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아동의 객관적인 시지각 평가와 보다 명확하고 의미있는 MVPT-3의 해석을 위해 우리나라 아동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전통적인 MVPT와 컴퓨터화된 MVPT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컴퓨터화된 MVPT 사용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4년 6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서울의 S병원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좌측편마비 환자 중에서 한국판소인지기능 검사(MMSE-K) 점수가 20점 이상인 30명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MVPT와 컴퓨터화된 MVPT를 실시하여 그 상관성을 분석 하였다.
결과 : 검사의 하위 항목 간에는 유의수준 0.05에서 차이가 없었고, 두 검사간의 상관성 비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99% 신뢰 수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두 검사간의 최종 편측무시 여부를 진단한 결과의 Wilcoxon 검증 결과 편측무시의 판단에서 두 검사는 80%의 일치를 보였고, 반응시간에 대한 일치도는 83.3%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전통적인 MVPT와 컴퓨터화된 MVPT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뇌졸중환자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컴퓨터화된 MVPT를 사용할 수 있다.
목적 : 이연구의 목적은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 중인 DTVP-2와 MVPT-R을 사용하여 일반아동의 시지각을 평가하고, 두 검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2003년 5월 13일부터 2003년 8월 29일까지 대전과 익산에 위치한 유치원을 다니는 일반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DTVP-2 와 MVPT-R의 검사를 실시하였다.결과 : DTVP-2와 MVPT-R 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두 평가도구 PQ에서 r=0.583이고 PA에서는 r=0.731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DTVP-2의 하위항목 간 대상 연령대별 평균을 보면 Copy영역에서 연령별 평균이 가장 높았고, SR, VC, VMC항목에서 연령별 평균점수가 낮게 나왔다. DTVP-2와 MVPT-R의 검사-재검사를 통한 신뢰도 검사에서 신뢰계수가 r=0.95로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지각 발달의 영향에서 시각운동통합 지각지수(VMIPQ)에는 익산지역과 부모(어머니)의 학력 중 대졸인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동감소 시지각지수(MRVPQ)에서는 남자아동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지, 학원수강, 선수학습은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MVP-R과 DTVP-2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이들 도구의 올바른 적용을 위하여 충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국내의 표준화 자료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visual perception disorder to brain demaged patients and to found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sion of brains and MVPT items. The subjects were 50 brain demaged patients and 29 normal peopl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an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were used to evaluate the visual perceptions of the bot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998 to March 1999.
Compare the results of raw scores the among MVPT items of normal group & the brain demaged patients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level of age group.
The difference of raw score in the third age group (70∼80) most significa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Korean normal grops and the standard of MVPT suggested by AJOT.
The result suggest , There is a need to develope MVPT that is suitable for Korean su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