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a folk art that combines earthy simplicity with refined elegance, Henan Diaoqu in China has gradually formed its performance style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giving rise to multiple sub-genres and enduring through the ages.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opera forms in the Central Plains region, its linked melody structure and widely appealing vocal styles have all been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 thought. However, the development of Diaoqu has gone through multiple periods, and under the impact of modernization, its inheritance and development face multiple challenges. Based on the dual dimensions of cultural genes and musical forms, this paper clarifies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Diaoqu and analyzes the manifestation of Confucian thought in its qupai (melody card) structure, libretto texts, and performance practices. It thus puts forward innovative ideas for the contemporary inheritance of Diaoqu, proposing the integration of Confucian "music education" philosophy with modern music education to facilitate its modern transmission, achieve its living inheritance empowered by digital technology, and rediscover its value in cross-cultural dialogue.
본 논문은 “음악 형식은 표면적인 현상에 불과하고, 궁극적으로 후경층 즉, 근본구조에서 유래한다”는 음악 형식에 대한 쉔커(Heinrich Schenker, 1868-1935)의 급진적이고 독특한 생 각에 내재한 전통적 형식 이론과의 절충적인 가능성을 살펴보고, 후대의 쉔커 이론가들이 제 시한 노래 형식의 분석 모델을 검토하여 이를 증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쉔커의 『자유작법』 마지막 장에 나타난 음악 형식에 관한 다소 모호한 견해들을 명료화 하 는 것에서 시작하여 캐드왤래더와 슈맬팰트, 뉴마이어/테핑, 찰스 스미스 등의 포스트 쉔케 리안들의 쉔커의 형식 이론에 대한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이를 재구성한다. 또한 2 부분·3부분으로 불리는 쉔커의 ‘노래 형식’에 있어 전통적 형식 이론과 쉔커식 견해를 절충 하려는 시도들을 살펴보며 제1중경층 형식 모델에 입각한 분석적 접근 방법의 교수법적 명 료함과 유용성에 대해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