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코로나-19 펜더믹과 이로 인한 양적완화, 그리고 이어지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인상은 조직의 경영환경에 큰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 이렇게 큰 불확실성 속에서도 조직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있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의 성과와 큰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역할 외 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학계와 실무적 노력이 더욱 더해지는 실정이다. 이 런 맥락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리더십 유형을 제안 및 실증하는 노력을 해 왔다. 그리고 다수의 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살핀 국내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함 으로써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키는 리더십 유형의 하나로 윤리적 리더십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 째,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정함으로써 두 변 수 사이에 나타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력을 높이고자 한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이 친사회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아울러 친사회적 동기를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상사-조직 가치일치가 어떻 게 조절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 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군 조직의 간부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으며,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한 실증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간의 관계를 친사회적 동기가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과 친사 회적 동기의 관계는 상사-조직 가치일치 정도가 높을 때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조절 된 매개효과 역시 상사-조직 가치일치 정도가 높을 때만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 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 윤리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하였으며,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역할과 상사-조직 가치일치의 조절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 행동 두 변수간의 관계에 있어 이해의 폭을 확대하는 이론적 기여와 함께 조직시민행동 증진을 위한 리더 십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실무적 교훈을 제시한다.
        6,4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고객응대 서비스업체의 종사자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인적자 원 기반의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종사자의 직무역량에 의해 기업성과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에 인적자원 관리에 더욱 주목을 기울이게 된다. 이때, 종사자의 직무역량과 관련해 동료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지금까지 종사자의 행동에 의한 고객만족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오히려 종사자의 행동에 의해 다른 종사자가 어떤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동료의 조직시 민행동에 의한 영향과 동료와의 프렌드십 지각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성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개인 및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 지각된 동료의 OCB는 부분적으로 직무만족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 라 이직의도를 낮출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애적이고 친사회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은 고객 에게뿐만 아니라 동료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동료와의 프렌드십을 높게 지각하면 할수록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전체적으로 조직유효성을 증가시키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와의 관계 및 동료의 행동적 영향은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시 키고 조직성과를 증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본 연구는 참여를 통해 일어나는 감정적 반응인 즐거움을 통해 조합원과 생활협동조합의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매력성, 지속적 정보탐색 및 호혜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5,7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WP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y Capital)과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behavior Citizenshi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조/서비스/금융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업별 변수 간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GWP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의 상사와 경영진을 신뢰(Trust)하고, 자기 일에 자부심(Pride)을 느끼며, 함께 일하는 동료 간에 일하는 재미(Fun)를 느끼는 곳으로, 약 10년 전부터 국내에 소개되어 제조, 서비스, 금융업 등 민간 기업은 물론,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개선 활동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제조/서비스/금융업에서 GWP 조직문화는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몰입도 제조/서비스/금융업에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와 서비스업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융업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GWP 조직문화가 산업별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6,6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동일시의 선행 변수로서 개인-조직 가치 일치와 조직 기반 자존감을 설정하여 이들 변수가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동일시가 결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직동일시는 조직구성원이 조직 이익에 부합되는 행동을 하도록 하여 조직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곧 개인을 위한 노력이라는 동기부여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666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공분산 구조분석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개인-조직 가치 일치와 조직 기반 자존감은 조직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직동일시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동일시는 개인-조직 가치 일치 및 조직 기반 자존감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분석결과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동일시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과 조직의 가치 일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 기반 자존감이 높은 구성원들은 자신들 자아의 유지 혹은 향상을 위해 조직동일시를 지향할 것이다. 그리고 개인-조직 가치 일치와 조직 기반 자존감은 매개변수인 조직동일시를 통해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700원
        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MX.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aspects of HR to enhanc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in hospital organizations, and present suggestions on academic contribution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measu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C and OCB of the organization member, which is proposed to secure more active and high competitiveness in the recent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with multi-regression and B&K(1986) method. For this purpose, 653 employees of senior hospitals in Seoul and Kyeong-In area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7-point scale, and each hypothesis was testified by multiple leaner regression and by BK method for testifying mediator effect. Result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le and non-medical staff had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medical staff in the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senior management or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grou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recognized higher than the group of subordinate managers.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MX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LMX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BK method, LMX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l the member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that were lacking served as positive factors for the relationship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and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expected that the hospital organization will be able to suggest such as the organizational approach to expect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entering on authentic leadership ability as psychological capital.
        6.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gender discrimination to female workers in Korean shipping firms on the thei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arrying ou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wo hypotheses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nder discrimina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the Korean shipping firms are established after reviewing the related studies. Survey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and analyz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ponse. Also,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stablished and the model is analyzed by AMOS. In conclusion, there are a negative effect of gender discrimination on female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positive effect of their commitment on OCB. Through this paper,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nder discrimina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ould be promo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