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A pressure ulcer is common in soft tissue over the greater trochanter (GT) in side-lying position, and sustained tissue deformation induced by the prolonged external force is a primary cause, which can be discussed with soft tissues’ viscoelastic properties (i.e., stress relaxation, creep response).
Objects: Using an automated hand-held indentation device, we measured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soft tissue over the hip area,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roperties are affected by site with respect to the GT.
Methods: Twenty participants (15 males and 5 females) who aged from 21 to 32 were participated. An automated hand-held indentation device was used to measure the stress relaxation time and creep response. Trials were acquired for three different locations with respect to the GT (i.e., right over the GT, 6 cm anterior or posterior to the GT). For each location, five trials were acquired and averaged for data analyses.
Results: Soft tissues’ stress relaxation time and creep response were associated with site (F = 23.98, p < 0.005; F = 24.09, p < 0.005; respectively). The stress relaxation time was greatest at posterior gluteal region (19.22 ± 2.49 ms), and followed by anterior region (15.39 ± 2.47 ms) and right over the GT (14.40 ± 3.18 ms). Similarly, creep response was greatest at posterior gluteal region (1.16 ± 0.14), and followed by anterior region (0.95 ± 0.14) and right over the GT (0.89 ± 0.18).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relaxation and creep were greatest at the posterior gluteal region and least at right over the GT, indicating that the gluteal soft tissue is more protective to the prolonged external force, when compared to the trochanteric soft tissue. The results suggest that a risk of pressure ulcer over the GT may decrease with slightly posteriorly rotated side-lying position.
Cu2ZnSn(S,Se)4(CZTSSe) thin film solar cells areone of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for photovoltaic devices due to their earth-abundant composition, high absorption coefficient and appropriate band gap. The sputtering process is the main challenge to achieving high efficiency of CZTSSe solar cells for industrialization. In this study, we fabricated CZTSSe absorbers on Mo coated soda lime glass using different pressures during the annealing process. As an environmental strategy, the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S and Se powder, without any toxic H2Se and/or H2S gases. Because CZTSSe thin films have a very narrow stable phase region,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condition of the annealing process to achieve high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cess pressure during the sulfo-selenization, we experiment with varying initial pressure from 600 Torr to 800 Torr. We fabricate a CZTSSe thin film solar cell with 8.24 % efficiency, with 435 mV for open circuit voltage(VOC) and 36.98 mA/cm2 for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JSC), under a highest process pressure of 800 Torr.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n elevated subsidence inversion over a surface low pressure system, which was formed along the Changma front or Meiu-Baiu fron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trongly suggest that the inversion is dissimilar to those formed in anticyclonic situations but is instead similar to the onion-shaped sounding found in wake low. The present analysis indicates that the observed elevated inversion resulted from the intrusion of stratospheric air associated with tropopause folding.
CFD를 이용한 풍압계수 시뮬레이션은 유익한 도구로 수행되었다.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건물 외벽의 풍압력 분포와 풍력계수에 관한 수치적 예측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건물 주변의 풍영향과 내풍설계에 있어서 풍압력 평가는 건물 외벽에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건물 외벽의 풍압력 분포와 건물 주변의 기류의 흐름 패턴에 대해서 수치해석을 하였으며 건물 설계과정에서의 수치해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Quick spatial discretization scheme의 네이어스 톡스 해석과 RNG k-난류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수치해석을 적용하였다.
건물 주변의 다양한 공기역학적 현상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난류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수치해석을 수행 하였다. TTU 건물을 대상으로 했고, 해석결과들은 실제 측정치, 풍동 실험 결과 그리고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수치해석결과 등과 비교하였다. 평균풍압계수의 분포는 다른 참고자료와 잘 일치하였고, 난류모델과 비교했을 때 rms 풍압계수 그리고 peak 풍압계수의 분포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서해 상에서 저기압과 태풍 통과 시 해상상태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1999년 4월 9일∼12일에 강한 저기압이 화중지방에서 발생하여 서해를 지나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경우의 9905호 태풍 NEIL과 9907호 태풍 OLGA가 서해를 통과하면서 서해 연안에 영향을 미친 사례이다. 봄철 이동성 저기압 발생 시 에는 저기압 중심부의 풍속이 주변 지역에 비해 위상이 빠르고 강하게 나타나며, 이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파고는 주변의 지형적 영향으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비해 두 태풍에 의해 발생한 파고는 태풍 Olga가 서해 남부해역에서 북상할 시기에 칠발도 근해상에서 5m이상의 높은 유의파고를 발생한 것 이외에는 저기압 통과 시보다 파고가 낮다. 해일도 태풍보다 저기압 통과 시에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강하지만 국지적이고 빠르게 이동하는 태풍보다 종관적이고 느리게 이동하는 기압장에 의해 발생한 파도와 해일이 더 클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경사 수로의 부등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된, 새로운 정수압 분포를 제시하였다. 이것을 천수방정식에 적용하여 대경사를 지나는 천수 흐름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유한체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포물선형 융기의 배수에 대해 압력 수정이 고려된 모형에서 바닥 경사 생성항의 영향이 줄어들어 융기의 하류에서 도수의 진행 속도가 크게 감소되었다. 삼각형 턱을 지나는 댐 붕괴 흐름에 대한 모의에서 압력 수정항이 추가된 모형으로 디지털 영상분석에 의한 수면을 압력 수정이 고려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잘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압력 수정항 덕분에, 턱에 반사되는 흐름은 줄어들고 월류는 늘어 모의 결과가 실험 결과에 잘 부합된다. 따라서 댐의 여수로나 해안의 처오름 등 실용적인 문제에 대한 이 모형의 적용성이 기대된다.
소방방재청에서 제공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재해연보’의 내용을 바탕으로 호우, 대설, 강풍에 의하여 강원도 지역에서 재해가 발생한 사례들을 추출하였고, 그 사례들을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유형별 재해 피해액을 조사하여 재해 취약 지역을 밝혀내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10년 동안에 총 32 건의 호우에 의한 재해 사례가 발생하였고, 호우에 의한 강원도 지역의 총 재해 피해액은 2조 2,514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호우에 의한 재해 사례를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재해 피해액을 살펴보면, 장마 전선형 호우에 의한 재해 피해가 가장 많았고(1조 9,002억 원), 호우와 관련된 재해 취약 지역은 평창군과 인제군 지역으로 밝혀졌다.
대설에 의한 재해 사례의 경우, 재해 사례 건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8 건이었고, 대설에 의한 강원도 지역의 총 재해 피해액은 280억 원 정도로 집계되었다. 대설에 의한 재해 사례를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재해 피해액을 살펴보면, 저기압 이동형 대설의 경우(196억 원 정도)가 cP 고기압 확장형 대설의 경우(41억 원 정도)보다 더 큰 재해를 일으켰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풍에 의한 재해 사례의 경우, 10년 동안에 재해 사례 건수는 총 2건이었고, 강원 영동 해안 지역에 위치한 삼척과 강릉 지역에서 각각 1,500만 원, 6,320만 원 정도의 피해가 나타나, 강풍의 피해 지역은 강원 영동 지역으로 국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