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24개 건어포 및 조미 건어포 제품의 종 판별 및 표시사항 준수 여부를 평가했 다. 이러한 수산가공품에 사용된 원재료의 종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및 cytochrome b 유전자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데이 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 후 계통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13개 종(Hyporhamphus quoyi, Gadus chalcogrammus, Lophius litulon, Conger myriaster, Paramonacanthus pusillus, Hyporhamphus sajori, Gadus macrocephalus, Hoplobrotula armata, Callionymus meridionalis, Liparis tanakae, Dosidicus gigas, Lagocephalus cheesemanii, and Takifugu vermicularis)이 확인되었다. 일반 명(장어, 오징어 등)을 포함할 경우 16개 제품(66.7%)에서 표시사항과 판별된 종 간에 불일치가 확인되었으며, 일반 명을 제외할 경우 불일치 비율은 41.7%로 감소했다. 식품 유형별로는 조미건어포 제품(n=20, 70%)에서 건어포 제품 (n=4, 50%) 보다 높은 비율의 불일치 비율이 관찰되었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 비율과의 상관성 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포류 제품의 주기적 모니터링 수행 및 수산물의 국명 표시 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roportions of both the fishery industry and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in the national economy are gradually decreasing. If high value-added processed fishery product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developed, these proportions can be improved. In pursuit of this, it is first necessary to discover processed fishery products specialized in each region and then establish a development framework for them. In this study, loc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processed fishery products specialized in each region. Then, dynamic shift-share analysis was used to establish a development framework which consisted of four development types of processed fishery products. Based on the magnitudes of the industrial mix effect and the regional shift effect, the supporting strategy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four development types of processed fishery products. The supporting strategy directions were all focused o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건조 수산가공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20년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건조 수산가공식품 12품목 120건을 수거하여 방사능(131I, 134Cs, 137Cs) 및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자연 방사성 핵종 중 하나인 40K만 검출되었으며, 인공 방사성 물질인 131I, 134Cs, 137Cs는 최소검출가능농도(MDA)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중금속의 평균 함량[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은 생물로 환산하였을 때 납 0.066±0.065(N.D.-0.332) mg/kg, 카드뮴 0.200±0.406(N.D.-2.941) mg/kg, 비소 3.630 ±3.170(0.371-15.007) mg/kg, 수은 0.009±0.011(0.0005-0.0621) mg/kg 이었으며, 수산물에서 중금속 기준이 있는 제품의 경우 모두 기준 규격 이내로 나타났다. 국내산 제품과 수입산 제품의 중금속 함량은, 조개의 카드뮴과 새우의 수은 함량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유통 중인 건조 수산가공식품에서 방사능 및 중금속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품 중 특히 수산물에서 방사능 오염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방사능 검사는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향후 건조 수산가공식품 중에서도 건조된 형태로 직접 섭취 가능한 제품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sumers are highly interested in processed fishery products that are healthy and superior in terms of convenience, nourishment, and taste. However, current domestic research on processed fishery products is marginal. We systematically analyze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relationship to pursuit benefits,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levels, and reasons for purchase. Consumers considered product informatio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 whereas convenience scored highest for pursuit benefits.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selection attributes and pursuit benefits on satisfaction level and the reason for purchasing an item were analyzed using demographic properties as control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satisfaction level were residential district (region: B= -0.268, p<0.05.), recipe (B=0.098, p<0.05), nutrients (B=0.124, p<0.05), convenience (B=0.283, p<0.001), and economics (B=0.138, p<0.0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ason for purchasing were nutrients (B=0.173, p<0.001), convenience (B=0.277, p<0.001) and satisfaction level (B=0.163, p<0.001). Pursuit in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selection attribut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showed that if consumers were satisfied, they intended to repurchase. Attempts to increase repurchases by consumer are needed by fulfilling consumer satisfaction. These data can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for sales pro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