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알락명나방은 침엽수 구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잣나무에 피해를 준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잣나무림에 서 솔알락명나방의 활동기간 및 설치 높이에 따른 유인력을 조사하기 위해 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735마리의 솔 알락명나방이 유인되어 포획되었다. 솔알락명나방은 5월 11일부터 10월 11일까지 5개월에 걸쳐 유인되었으며, 활동 최성기는 6월 22일로 나타났 다. 페로몬 트랩의 설치높이에 따른 유인력 검정에서는 99.2%의 개체가 수관상부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포획되었다.
The genus Hypsopygia was established by Hübner, 1825, with type species Phalaena costalis Fabricius, 1775. Hypsopygia is characterized by the elongated uncus and valva, and pointed saccus in the male genitalia. It consists of 105 described species (Nuss et al., 2003–2024) in the world, and 11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Kim & Paek, 2020; Shin et al., 2023). In this study, we reported on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Illustrations of adults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host plants of all examined species.
The family Pyralidae comprises over 6,000 species, and is composed of five subfamilies. Among those, the subfamily Phycitinae includes 3 genera, Addyme Walker, 1863, Calguia Walker, 1863, and Coleothrix Ragonot, 1888, with more than 3,300 species worldwide. However, several species of the genera have been erroneously stated and identified due to confusions caused by high morphological similarities. Therefore, we correct those errors through re-examinations of most of the type specimens, along with a diagnosis and table exhibiting the history of those genera. Additionally, we introduce two misidentified Korean pyralids belonging to the genus Addyme.
The subfamily Epipaschiinae belongs to the family Pyralidae in the superfamily Pyraloidea. Moths of the epipaschiine are mostly medium-sized, and around 705 species have been described worldwide, with most of them distributed in Tropical and Temperate Regions (Nuss et al., 2023). In this study, 24 species of 10 genera of the subfamily Epipaschiinae are identified. All of the species are accompanied by distributions, host plants, and collection site information. Illustrations of adults, male and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솔알락명나방(Dioryctria abietella)의 유충은 잣나무 구과를 가해 하는데, 피해를 심하게 받은 구과 종자의 손실량은 20.3%이며, 잣나무에서 구과피해율이 평균 25.7%에 달하여(이성찬, 2014), 잣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잣나무에서 페로몬 트랩의 설치 높이에 따른 솔알락명나방의 유인 효과 조사를 위하여 고가작업차 를 이용하여 잣나무림 지상부, 수관하부, 수관중부, 수관상부에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였다. 페로몬은 케이아이 피에서 구입 하여 사용하였으며 트랩은 델타트랩을 설치하였다. 4월 26일에 최초 설치를 시작하여 기상상황에 맞게 10~15일 간격으로 수거하여 유인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5월 초순에 4개 개체가 채집되기 시작하였으며, 6월 하순에 136개체가 채집되어 최대 밀도가 채집되었으며, 이후 점차 밀도가 감소하다가 8월 부터 밀도가 다시 증가하였다가 8월 중순 이후부터 다소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6월 초순에는 채집개체가 전혀 없었는데 이는 5월 하순부터 잣나무 송화가루가 날리면서 끈끈이트랩을 오염시켜 끈끈이트랩의 접착력이 떨어진 것에 기인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수고별 솔알락명나방 페로몬 트랩 유인효과는 채집된 개체의 99.0%가 수관 상부에서 채집되 었으며, 2개체만이 수관중부에서 채집되었다. 수관하부와 지상에 설치된 트랩에서는 전혀 채집이 되지 않아 페로몬 트랩의 설치 높이에 따라 유인 효과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wo new species, Stericta jaeshini Kim & Bae, sp. nov. and S. atroaurantiaca Kim & Bae, sp. nov. are described from Laos and Cambodia. About 50 species of the genus Stericta have been recorded from Southeast Asia, but it has not been recorded to occur in Laos and Cambodia previously. We record the presence of this genus in these two countries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Illustrations of adults and genitalia of examined species are provided.
In the genus Acrobasis Zeller, 1839, there are 14 species known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Acrobasis rubrizonella (Ragonot, 1893) and Acrobasis subceltifoliella Yamanaka, 2006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e hear provide diagnoses, descriptions, and images of the adults and genitalia of the two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