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vine brucellosis causes abortion and infertility. The authors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pathological lesions of Korean native cows and fetuses who received experimental vaccination with Brucella abortus RB51 and were challenged with Brucella abortus 2308. Gross and histopathological lesions in endometrium and placenta were observed in cows of the vaccinated group. Twenty-five percent of pregnant cattle in the vaccinated group showed endometritis and placentitis, which was three times lower, compared with the non-vaccinated group. The pathological lesions in the uterus and placenta in both group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Therefore, vaccination in heifers using Brucella abortus RB51 may not provide adequate protection against infection with Brucella abortus virulent strain.
        4,000원
        6.
        202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덕리 화강암과 농거리 화강암은 영남육괴 동북부의 태백-상동지역에서 분포하는 고원생대 화강암이다. 이 단보에서는 내덕리 화강암과 농거리 화강암에서 추출된 광물들에 대해 희토류원소의 함량측정 및 이들 광물들로 부터의 Rb-Sr 광물연대를 구함으로써 내덕리-농거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진화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틀을 마련 하고자 하였다. 운석으로 규격화한 희토류원소 분포도에서는, 저어콘을 제외한 흑운모, 장석, 석영, 전기석 등 모든 주구성광물은 경희토류가 부화되어 있고, 중희토류가 결핍된 희토류원소 분포도를 보여주고 있다. 저어콘의 경우 Eu의 강한 부(-)의 이상과 더불어 경희토류와 중희토류 모두 부화된 특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열수기원임을 지시 하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Rb-Sr 광물연대에 있어서 광물분리한 시료만을 이용한 Rb-Sr 광물연대는 1.814±142(2σ) Ma의 연대치를 지시해주었고, 기존의 자료와 함께 통합하여 계산했을 때는 1,707±74(2σ) Ma의 연 대치를 지시해주었다. 이 광물연대값은 겉보기에서는 기존의 1.72 Ga Rb-Sr 전암연대보다는 더 오래됐고, 1.87 Ga의 Sm-Nd 전암연대보다는 더 젊다. 이와 같이 광물연대와 전암연대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저어콘의 희토류원소 분포도가 지시해주는 바와 같이 Rb-Sr 동위원소계가 화강암의 정치 후 열수변질을 받았음을 지시해준다고 해석된다.
        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nseng (Panax ginseng) is frequently used in Asian countries as a traditional medicine. The major components of ginseng are ginsenosides. Among these, ginsenoside compound K has been report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alignancy and metastasis of cancer by blocking the formation of tumor and suppressing the invasion of cancer cells. In this study, ginsenoside Rb1 was converted into compound K, via secreted β-glucosidase enzyme from the Leuconostoc lactis DC201 isolated, which was extracted from Kimchi. The strain DC201 was suspended and cultured in MRS broth at 37℃. Subsequently, the residue from the cultured broth supernatant was precipitated with EtOH and then dissolved in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0) to obtain an enzyme liquid. Meanwhile, the crude enzyme solution was mixed with ginsenoside Rb1 at a ratio of 1:4 (v/v).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30℃ and 190 rpm for 72 hours, and then analyzed by TLC and HPLC. The result showed that ginsenoside Rb1 was transformed into compound K after 72 hours post reaction.
        11.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세계적으로 널리 복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삼이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세포수준에서의 증거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보고된 30여종 이상의 ginsenosides 중에서 인삼 효과의 주된 활성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b1과 Rg1을 이용해 해마신경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증식실험결과 Rb1과 Rg1을 3일 동안 해마신경전구세포에 처리하면 대조군에 비해 BrdU(+)세포수가 상당히 감소한 반면에 분
        12.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천지역 화강섬록암 풍화단면내의 흑운모가 산화흑운모로 풍화되는 과정에서 Rb-Sr 동위원소연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선한 흑운모와 풍화된 흑운모들의 Rb-Sr 동위원소 조성을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측정하였고, 이를 기존의 K-Ar 자료와 비교하였다. Rb-Sr 동위원소연대는 흑운모의 산화정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K-Ar 연대의 감소경향과 잘 일치하였다. Fe<SUP>2+</SUP>의 산화로 발생하는 과잉전하로 구조내 양이온들이 방출되는 과정에서 층간의 방사기원핵종도 일부 방출되었는데, 일가 양이온인 <SUP>87</SUP>Rb이 이가 양이온인 <SUP>87</SUP>Sr로 붕괴되어 딸핵종인 <SUP>87</SUP>Sr이 모핵종인 <SUP>87</SUP>Rb보다 심하게 흑운모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보이고, 그 결과 Rb-Sr 동위원소연대가 감소하였다. 풍화된 흑운모는 모암의 연대측정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보이지만, 풍화과정에서 방사기원 동위원소들의 거동은 흑운모 풍화의 지화학적 및 구조적 과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